50대 이상 은퇴가구의 연 평균 소득이 동일 연령 비은퇴가구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녀 교육비·결혼비 등 은퇴 후에도 예상되는 지출은 높은 편이어서, 온전한 노후 계획을 미리 설계해 둘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보험개발원은 13일 고령화·은퇴 관련 종합정보를 한 곳에서 볼 수 있는 ‘2023 KIDI 은퇴시장 리포트’를 통해 각종 보험 통계와 보험개발원의 은퇴시장 설문조사 등을 분석, 공개했다.
이 설문조사의 경우 수도권 및 광역시에 거주하는 30~75세 1천300명 가구주를 대상으로 이뤄졌으며, 40~50세대의 은퇴 준비현황과 고령자의 노후 준비현황 등을 살펴보는 데에 초점을 맞췄다.
발표된 자료를 보면 국내 50대 이상 은퇴가구의 연 평균 소득은 3천105만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세대인 50대 비은퇴가구 연 평균 소득(6천961만원)의 45% 수준이다.
지난해 기준 국민연금(노령연금) 수급자의 소득대체율(월 평균 소득 대비 월 연금 수령액)은 22%로 추정, 공적연금만으로는 노후준비가 충분하지 못한 상황으로도 분석됐다.
즉 은퇴가구는 근로소득과 사업소득이 큰 폭으로 감소하는 만큼 공적이전소득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심하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무엇보다 은퇴 후 예상되는 평균 지출은 자녀 교육비 7천749만원, 자녀 결혼비 1억444만원 등 높은 편임에도, 은퇴 시 받을 수 있는 평균 퇴직급여는 1억699만원 정도여서 은퇴자들이 ‘지출액’을 '수입'으로 감당하기엔 역부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60세 이상 고령자 대부분은 향후 자녀와 따로 살기를 희망했다. 구체적으로 60대의 80.7%가, 70대의 77.2%가, 80대의 65.4%가 ‘독립’을 원했다.
자녀와 동거하는 70대 이상의 고령자가 자녀와 같이 사는 이유는 “본인의 독립 불가능”이 1순위였다.
이에 보험개발원은 은퇴 준비자들이 온전한 노후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은퇴 후 예상되는 필요 자금 및 주거 계획 등을 미리 설계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보험개발원 관계자는 “여유 있는 노후를 위해 연금저축, 저축성 보험 등을 통한 다양한 노후 소득원천의 확보가 필요하다”면서 “개인연금 세제혜택 강화를 검토하는 등 안정적인 은퇴 및 노후 대비를 유도해 갈 것”이라고 전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