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남부지역에서 검찰이나 경찰 등 수사기관을 사칭하는 보이스피싱 범죄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경기남부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11월 기준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 범죄는 1천710건으로 지난해 대비 28% 늘어났다.
수사기관을 가장한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은 피해자에게 연락해 “본인 명의로 대포통장이 개설됐으니, 공범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려면 지정된 안전 계좌로 돈을 입금하라”고 말한 후 피해금을 받는 방식이다.
피싱범들은 가짜 신분증과 공문을 보내며 실제 직원의 이름을 도용해 고압적 목소리로 판단력을 흐리게 했다. 또 보안을 유지해야 한다며 주변인과의 상담도 차단했다.
이외에도 대출 사기형 보이스피싱이 있다. 은행 등 금융기관을 사칭해 ‘저금리 대출로 바꿔주겠다’, ‘24시간 이내에 기존 대출금을 상환해야 한다’고 유인하는 방식이다.
경기남부청 관계자는 “최근 기관사칭형 보이스피싱이 늘어나는 데 일반적인 국민이 형사 절차에 밝지 못한 점을 악용하는 것”이라며 “특히 사회초년생인 20∼30대의 피해가 잦으니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한편 경기남부청은 올해 11월 기준 보이스피싱 범죄 3천402건을 적발해 총 3천797명을 검거했고, 금융기관과 협업해 보이스피싱 피해금 89억 원이 피싱 조직에 송금되는 것을 예방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