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선거프레임·공천·선거 구도·정책 대결 치열 “윤석열 검찰 독재정권 심판” vs “운동권 특권정치 청산”
여야가 100일 앞으로 다가온 22대 총선 승리를 위해 최대 승부처 수도권 여론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슈와 인물, 구도 등을 중심으로 수도권 표심을 흔들 5대 포인트를 뽑아봤다.
■ 이슈
여야 모두 ‘김건희 특검법안’을 최대 이슈로 꼽는다. 윤석열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할 경우, 수도권 선거에 어떤 영향을 줄지 주목하고 있다.
여권 관계자는 1일 경기일보와의 통화에서 “윤 대통령이 거부권을 행사하더라도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대처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중수청(중도·수도권·청년) 여론이 상당히 요동칠 것”이라며 “대통령의 눈치를 살피지 않고 국민의 눈에 어떻게 비치는지만을 생각하고 모든 것을 결정하면 성공한 비대위원장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 선거 프레임
선거 프레임 대결도 치열하다. ‘정권 심판’을 내세운 야당이 한 걸음 더 나아가 ‘윤석열 검찰독재 정권 심판’을 주장하고 있는 가운데 국민의힘도 ‘국정 안정’이라는 수동적인 프레임에서 ‘운동권 특권정치 청산’이라는 공세적인 프레임을 제시하고 나섰다.
한 위원장은 지난해 12월 26일 수락연설에서 “국민들 위에 군림하고 가르치려드는 운동권 특권정치를 청산해야 한다”며 야당을 향해 날을 세웠다.
■ 공천
대폭적인 공천 물갈이가 예상되는 가운데 국민의힘은 여전히 수도권, 특히 경기도에서 인물난을 겪고 있는 모습이다. 민주당도 비명(비이재명)계 의원 중 상당수가 경기도인 가운데 인재 영입과 쇄신 공천 의도가 자칫 비명계를 자극해 친명(친이재명)계와의 갈등이 더욱 노골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 선거 구도
여야 전직 대표가 모두 신당을 추진, 4당 체제로 22대 총선이 치뤄질 가능성이 높다.
국민의힘 이준석 전 대표의 개혁신당은 ‘중·수·청’ 여론을 흔들 가능성이 높아 국민의힘을 자극하고 있고, 민주당 이낙연 전 대표가 추진하는 신당은 호남 여론에 영향을 줄 가능성 때문에 민주당이 비판의 날을 세운다. 4당 체제로 총선이 치뤄지면 수도권에서 근소한 차이로 당락이 갈리는 박빙 승부처가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 정책
경기북부특별자치도(북자도)와 ‘서울 메가시티’(김포·구리 등 경기도 지자체 서울 편입) 대결 외에도 선거일 전후로 이뤄지는 1기 신도시 특별법 오는 4월 시행, GTX A노선 수서~동탄 구간 3월말 조기개통 등을 놓고 여야간 물밑 신경전도 치열할 전망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