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포격도발 주민들은 ‘깜깜’... 해당 지역 상황 공유해야

지난 주말 북한이 3일 연속 서해 북방한계선(NLL) 해상에 대한 포격 도발을 해왔다. 인천 옹진군의 백령·연평도 등 서해5도 해역이다. 그러나 인천시와 옹진군은 포격 도발이 있은 지 3~4시간이 지나서야 이를 알 수 있었다. 재난문자 발송, 대피 안내 등 후속조치도 늦을 수밖에 없었다. 바로 앞 해상에서 해안포 도발과 우리 군의 대응 사격 훈련이 벌어졌다. 그런데도 인천시나 옹진군, 주민들은 그냥 깜깜이 상태에 놓여 있었다. 군 작전의 특수성을 감안하더라도 아쉬움이 남는 민·관·군 상황대응 체계다.

 

북한은 지난 5일 오전 9시부터 2시간에 걸쳐 200발 이상의 해안포를 발사했다. 서해 백령도와 연평도 부근 NLL 수역에 대해서다. 이어 6일과 7일에도 잇따라 연평도 해상 일대에 해안포 사격을 했다. 우리 군은 지난 5일 북한의 포격에 대응, 북측 방향으로 400여발의 대응 사격을 했다. 그러나 6일과 7일의 도발에 대해서는 대응 사격을 하지 않았다. 북측의 이 같은 도발이 앞으로도 이어질 것이 걱정이다.

 

첫 도발이 있던 5일, 인천시와 옹진군은 뒤늦게 상황을 파악했다. 포격 3시간여가 지난 뒤였다. 해병대사령부로부터 상황을 전달받고서야 대응에 나설 수 있었다. 이날 오후 3시부터 북측에 대한 해상 사격 훈련을 한다는 내용이었다. 그제야 재난문자를 발송하고 주민 대피 안내에 들어갔다. 6일에는 연평면사무소가 오후 4시께 북한의 포격 소리를 듣고 해병대사령부에 문의하고서야 상황을 파악했다. 이날도 포격 4시간이 지난 오후 8시에야 재난문자 발송이 가능했다.

 

옹진군에 따르면 해병대 측은 포격 도발 등에 대해 아무런 정보도 제공하지 않는다고 한다. 이 때문에 주민 대피 등 초동 대처가 늦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인천시 관련 부서도 답답하기는 마찬가지다. 일촉즉발의 상황을 뉴스에만 의존하는 실정이다. 적어도 주민 안전과 직결되는 상황만큼은 민·관·군이 공유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해 보인다. 그간 인천시는 국방부와 행안부에 비상시의 안보 정보 공유를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다. 그러나 제도 개선이 이뤄지지 않은 채 이번 같은 사태를 맞은 셈이다.

 

백령·연평도 등 서해5도는 최북방 접경지역이다. 그래서 이곳 주민들은 북측의 도발 사태에 대해 상시적인 트라우마가 있다. 가깝게는 2010년의 천안함 피폭이나 연평도 포격 사태가 있었다. 그 이전에는 두 차례의 연평해전이 있었다. 군작전 관련 정보의 전면 공개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다. 해당 지역 주민들의 안위가 걸린 상황의 조기 전파는 매우 중요하다. 군과 해당 지역 간의 핫라인 구축이 시급하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