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선거구 획정 하세월… 총선 주자들 ‘대혼란’ [4·10 총선]

민주, 野都 부천 통합 반대… 4곳 선거구당 평균 19만7천234명 지적
서울 강남 3곳 17만6천300명·대구 달서 3곳 17만9천47명보다 많아
여당 안방 강남 등 의석 축소 주장… 전북 1석 감소에도 문제 제기
2곳서 3곳 분구 예정 평택에 악영향… 평택병 신설 불가능 우려도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전체회의. 연합뉴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전체회의. 연합뉴스

 

4·10총선을 불과 60여일 앞두고 경기도 일부 선거구의 분구·통합을 놓고 설왕설래가 이어져 해당 지역 총선 주자들이 혼란에 휩싸이고 있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는 선거구 획정안을 논의하기 위해 지난 2일 오후 열기로 했던 전체회의를 취소했다. 여야는 이날 정개특위에서 국회의원선거구획정위원회(이하 획정위)에 보낼 선거구 재획정 요구안을 정식으로 의결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선거구가 줄어드는 통합선거구를 놓고 여야가 팽팽히 맞서 회의가 연기됐다.

 

여야가 맞서는 쟁점에는 4곳에서 3곳으로 선거구가 감소되는 부천이 포함돼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선거구당 평균 인구가 부천 4곳이 19만7천234명으로, 서울 강남 3곳(17만6천300명), 대구 달서 3곳(17만9천47명)보다 많음에도 부천만 통합한 것은 불공평하다는 지적이다. 민주당은 오히려 서울 강남 혹은 대구 달서 의석을 줄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전북 1석을 감소시킨 것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부천은 4곳 모두 민주당 의원 지역구이며, 서울 강남 3곳과 대구 달서 3곳은 윤재옥 원내대표(대구 달서을)을 포함해 모두 국민의힘 의원 지역구다. 국민의힘은 인구수에 따라 부천 1석과 전북 1석을 통합해 줄이도록 한 획정위 안이 합리적이라며 맞서고 있다.

 

이처럼 부천 등을 두고 여야가 이견을 좁히지 못하면서 2곳(갑·을)에서 3곳(갑·을·병)으로 분구 예정인 평택에 영향을 줘서 평택병 신설이 불가능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평택지역 일각에서 나와 주목된다.

 

현재 평택을 선거구는 병선거구 신설을 예상하고 민주당 7명, 국민의힘 4명 총 13명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아직 예비후보로 등록하지 않은 국민의힘 3선 유의동 정책위의장까지 포함하면 총 14명이 총선을 두고 움직이는 상황이다.

 

여야의 선거구 합의가 늦어지면서 ‘깜깜이 선거’라는 불만이 터져 나오는 가운데 분구가 어려울 것이란 소문까지 돌자 평택 예비후보들의 혼란과 반발이 커지고 있으며, 특히 서부지역을 중심을 활동했거나 연고를 둔 예비후보들로부터 거센 반발이 예상되고 있다.

 

한 예비후보는 “법규상 인구기준을 따라야 하는 것이 마땅하고 더군다나 평택처럼 인구가 증가한 지역을 이해관계에 따라 조정하려 든다면 말이 안 된다”며 “애당초 지난해 4월에 통과해야 했을 것을 올해 2월 결정하는 것은 국회의원들의 직무태만”이라고 지적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