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혼 맞선에서 호감도 높이려면 '어떻게'

image
사진은 기사와 관련 없음. 클립아트코리아 

 

맞선을 보는 돌싱(돌아온 싱글) 중 남성은 ‘상대방이 먼저 와서 맞아줄 때’, 여성은 ‘실물이 낫다고 말할 때’에 각각 호감도가 급상승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13일 재혼정보업체 온리-유가 결혼정보업체 비에나래와 함께 지난 5일~12일까지 전국 재혼 희망 남녀 526명(남녀 각 263명)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남성의 31.6%는 재혼 맞선 자리에서 ‘먼저 와서 맞아줄 때’ 상대방에 대한 호감도가 높아진다고 밝혔다.

 

이어 ‘실물이 낫다고 말할 때', ‘반갑다고 인사할 때’가 각각 27.8%, 24.6%였다. 남성에선 ‘상석으로 안내할 때(16.0%)'라는 응답은 가장 적었다.

 

반면 여성은 남성과 달리 ‘실물이 낫다고 말할 때’가 36.1%로 가장 많았고 ‘상석으로 안내할 때(25.1%)’가 뒤를 이었다. 또 ‘반갑다고 인사할 때는 20.5%, ‘먼저 와서 맞아 줄 때'가 18.3%로 조사됐다.

 

재혼 맞선 시 찬물 끼얹는 대화로는 ‘왜 아직 재혼 못했나요(남 27.8%·여 35.7%)', ‘누가 먼저 이혼을 제기했나요(남 32.7%·여 26.2%)’라는 질문이 가장 많은 선택을 받았다.

 

또 ‘왜 이혼했나요(남 22.1%·여 22.5%)’와 ‘전 배우자는 어떤 사람이었나요(남 17.4%·여 15.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맞선과 관련, 무시하고 싶은 데이트 법칙 1위로는 남자(29.7%)는 ‘밀당’, 여성(34.6%)은 ‘Pay 3:1 법칙'을 가장 많이 꼽았다. Pay 3:1 법칙은 데이트 비용을 남자가 3번 내면 여자도 1번 이상 내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남녀 모두 ‘최소 3회 만난 후 교제 여부 결정(남 25.8%·여 22.8%)’이라고 답했다.

 

손동규 온리-유 대표는 “재혼 맞선에서 상대의 프로필에는 만족하면서 진지한 교제로 발전하지 못하는 사례가 많다”라면서 “상대를 대하는 자세와 매너는 물론 복장, 센스 등이 조화를 이뤄야 소중한 인면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고 조언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