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하 보건의료노조)가 18일 의사들의 집단 진료 중단을 막기 위한 국민촛불행동을 제안했다.
보건의료노조는 이날 대국민 호소문을 통해 "의대 증원을 무산시키기 위해 환자 생명을 살려야 할 의사들이 대화를 통한 해법을 찾으려 하지 않고, 정부를 굴복시키겠다며 집단적으로 진료를 중단하는 것은 국민 생명을 내팽개치는 행위”라고 비난하며 이같이 밝혔다.
보건의료노조는 “의대 증원은 의사들이 맞서 싸우려는‘정부의 야욕’이 아니라 필수의료·지역의료·공공의료 붕괴의 재앙을 막기 위한 ‘국가적 과제’이고 ‘국민의 요구’”라면서 “의사는 환자를 위해 있고 의사들은 90%가 넘는 절대다수 국민의 여론을 무시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또 “응급실, 수술실, 중환자실, 분만실, 신생아실 등 국민 생명과 직결된 업무에 종사하는 의사들의 진료 중단은 국민들을 죽음으로 내모는 행위”라며 “집단행동을 하더라도 노동조합의 파업 때처럼 응급실, 수술실, 중환자실 등 필수 업무는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보건의료노조는 "국민의 편에 서지 않으려는 의사들의 집단행동으로 더 이상 국민들의 생명이 위협받아서는 안 된다. 이제 국민이 나서야 할 때”라며 “의대 증원을 무산시키려는 의사들의 집단진료 중단을 막고, 진료를 정상화하기 위한 범국민 행동에 나설 것”을 호소했다.
구체적 방법으로는 ▲집단진료 중단 의사단체·의사에 항의·호소 메시지 보내기 ▲집단진료 중단 미동참 후 환자 돌모는 의사에게 응원 메시지 보내기 ▲의대 증원 필요성 및 진실 알리기 ▲진료정상화를 촉구하는 시민사회단체 입장 발표 ▲국회의원과 지방자치단체장, 지방의원들의 진료정상화 설득 ▲집단진료 중단을 막기 위한 국민촛불행동 등을 제시했다.
이어 보건의료노조는 “의대 증원 무산을 위한 집단 진료거부는 국민생명을 위협하는 비윤리적 행위이자 반의료행위로서 의사 윤리강령에 정면으로 위배된다”고 지적했다.
한편 간호사 등 의료기관 노동자들로 구성된 보건의료노조는 전공의 집단 사직과 진료 중단에 따른 환자 피해 사례와 의료인력 고충 사례를 조사, 오는 29일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서울의 '빅5' 병원 전공의들은 오는 19일까지 전원 사직서를 제출한 뒤 20일 오전 6시부터 근무를 중단하기로 하면서 의료현장에서 예약 수술 취소·연기 등의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또 보건복지부가 지난 16일 전국 12개 수련병원에 대한 현장점검 결과, 235명이 사직서를 냈고 이 중 103명이 실제 근무하지 않았다. 복지부는 업무개시명령 발동 등 강력한 대응 방침을 밝힌 상태다.
이와 관련, 대한의사협회 '의대 정원 증원 저지 비상대책위원회'는 지난 17일 오후 회의를 갖고 전공의 등에 불이익 발생 시 법적 대응 등에 나서기로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