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715명 사표...복지부, 비상진료체계 운영

18일 오후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제10차 회의를 진행 중인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복지부 제공
18일 오후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제10차 회의를 진행 중인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복지부 제공

 

의과대학 정원 확대에 반발, 사직서를 제출한 전공의가 700명을 넘어섰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18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있었던 한덕수 국무총리의 '의사 집단행동 관련 대국민담화' 직후 이어진 질의응답에서 “지난 16일 오후 6시 기준으로 전공의 수 상위 수련병원 100곳 중 23곳에서 715명이 사직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실제 사직서를 수리한 경우는 없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면서 “비상진료체계를 가동, 의사들의 집단행동에 대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조 장관은 "복지부와 지자체는 비상진료대책상황실을 이미 운영 중이고, 관계부처와 지자체, 공공병원 등에서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며 "상급종합병원은 입원·중증 진료를 중심으로 진료 기능을 유지하고, 전국 400곳의 응급의료기관은 24시간 비상진료체계를 철저히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복지부는 전국 지방의료원 35곳, 적십자병원 6곳과 보건소 등 공공의료시설을 중심으로 진료 시간을 연장하고 비대면 진료대료도 확대할 예정이다. 의사들의 단체행동이 벌어지는 병원에 대해선 의료 공백 최소화를 위한 재정 지원도 추진한다.

 

복지부는 동네병원의 집단 휴진에 대해선, 문을 여는 의료기관 정보를 빠르고 쉽게 국민들에게 안내하는 방법도 마련 중이다.

 

특히 조 장관은 전공의들이 실제 대규모 사직 등 집단행동에 들어갈 경우, 불법행위 확인 시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병원을 이탈한 전공의들에 업무 개시를 명령하는 등 대응하고 있다. 지난 16일 진료 유지 명령에도 불구하고 근무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전공의 103명에게 업무개시명령을 내렸고, 이들 중 100명 복귀했다.

 

조 장관은 "의협이 집단행동 등 투쟁의 길을 선택해 매우 유감"이라며 "의료인 여러분께 부디 환자의 곁을 지켜주길 부탁드리며, 정부는 대화의 장을 열어두고 기다리겠다"고 말했다.

 

이어 "정책 결정 및 집행과 관련해 공무원 개인에게 가해지는 공격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과도한 인신공격과 근거 없이 악의적인 사항을 유포하는 행위를 자제하기를 바라고, 재발 시 부처 차원에서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한 총리는 대국민 담화에서 "의사들의 집단행동으로 인한 의료공백은 국민 생명과 건강을 볼모로 삼는, 있어서는 안 되는 일"이라며 "실제 행동으로 이어져 의료공백이 벌어지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간다"며 자제를 호소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