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전 산업 중 10%에 이르는 산업이 항만 및 화물을 이용한 물류산업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이를 활용해 인천이 글로벌 물류 허브로 거듭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인천연구원이 27일 공개한 ‘글로벌 물류허브 육성을 위한 인천형 물류 체계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인천의 전 산업 중 물류 산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10.8%이다. 사업체 기준으로는 전국 17개 시·도 중 4위이다.
특히 전자상거래 등의 증가로 지역내총생산(GRDP) 중 ‘운수 및 창고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년 동안 10% 내외를 차지했다. 부산시의 10.7%를 제외하면 전국에서 2번째로 높은 수치다.
인천연구원은 인천시가 글로벌 물류 허브도시로서 거듭날 수 있도록 공항과 항만 인프라를 바탕으로 전략산업을 연계해야 한다는 제언을 내놨다. 인천연구원은 또 인천공항이 있는 영종도와 인천신항 및 국제카페리가 있는 인천 송도를 자유항으로 지정해 물류와 산업의 시너지를 극대화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인천공항에는 반도체 후공정 특화단지, 항공육성산업(MRO) 단지 등을 통해 항공물류산업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 인천신항은 LNG기지 등을 이용한 콜드체인 특화벨트 등을 제안했다.
이를 위해서는 인천공항의 공항경제권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협력적 거버넌스 체계를 구축해 인천 전역으로 확대해야 한다는 구상을 내놨다. 여기에 시가 공항경제권의 성공 뿐 아니라 항만의 자유무역지역 등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의 권한 확대가 필수적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현재 공항시설 및 공항배후단지는 국토교통부, 항만 및 항만배후단지는 해양수산부에서 계획을 세우고 있어 중앙정부의 계획을 그대로 반영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시가 인천의 물류비전이 담긴 종합계획을 수립해, 중앙정부 계획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운수 인천연구원 교통물류부 위원은 “인천은 글로벌 물류 허브도시로서 이미 어느 정도 조건을 갖추고 있다“며 “한 단계 더 도약을 위해서는 공항·항만 인프라 바탕의 전략산업을 연계해야 한다”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