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가 없는 신혼가구가 앞으로 출산할 경우 자녀 1명당 월 140만원 이상의 양육비가 될 것으로 예상, 경제적으로 부담스럽게 여긴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인구 변화 대응 아동수당 정책의 재정 전망 및 개선 방안’ 연구보고서(연구책임자 이소영 연구위원)를 보면, 연구팀은 아동수당의 잠재적 수요자인 혼인 기간 5년 이하의 무자녀 300가구(남자 150명, 여자 150명)를 대상으로 지난해 5월30일부터 6월8일까지 온라인 설문 조사를 했다.
조사에서 ‘앞으로 자녀를 낳을 경우 자녀 1명을 키우는데 월평균 얼마의 비용이 들 것이라고 생각’하는지 물어보는 질문에는 ‘100만원~150만원 미만’이 37.0%로 가장 많았다.
이어 ‘200만원 이상’ 29.0%, ‘150만원∼200만원 미만’ 18.7%, ‘100만원 미만’ 15.3% 순이었다. 자녀 1명당 월평균 예상 양육비는 140만7천원이었다.
월평균 예상 양육비용에 대해 가구소득이 월 800만원 이상인 응답자들은 ‘158만1천원’이라 답했고, 가구소득이 월 400만원 미만인 응답자들은 ‘130만8천원’이라 답하는 등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예상 양육비용이 높았다.
거주 주택이 ‘자가’이면 자가가 아닌 경우보다 월평균 예상 양육비가 많았다.
자녀에게 지출되는 양육비가 가계에 어느 정도 부담이 될 것이라고 여기는지 질문한 결과에서는, ‘다소 부담될 것’(58.7%)과 ‘매우 부담될 것’(35.0%)으로 10명 중 9명(93.7%)이 부담을 예상했다.
그 외 ‘적절할 것’(5%), ‘별로 부담되지 않을 것’(1%), ‘전혀 부담되지 않을 것’(0.3%) 등의 응답은 많지 않았다.
향후 자녀 계획에 대해서는 ‘1명’이 33.3%, ‘2명’이 24.7%, ‘3명’이 2.7% 등으로 나타났다. 자녀를 낳지 않을 계획인 경우는 1.7%, 몇 명의 자녀를 낳을지 아직 정하지 않은 경우는 37.7%였다.
연구팀은 “현재의 아동수당에 대해서는 양육비용 부담 경감이나 자녀 출산 결정, 자녀의 건강한 성장 발달에는 약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했지만, 출산 시기를 앞당기는 데는 별로 영향을 주진 않는다”고 진단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