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을 아직 짓지 않고 있어 과징금을 물 수 있다는 우려(경기일보 지난해 11월7일자 1면)가 나온 가운데, 시가 환경부의 시범사업에 선정받아 시설 설치를 위한 국비를 확보했다. 이에 따라 시의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 조성 사업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4일 환경부와 시에 따르면 환경부는 올해 통합바이오가스화 시설 설치 시범사업 대상으로 시를 선정, 국비 608억원을 지원한다. 이에 따라 시는 가좌 공공하수처리시설에 오는 2030년까지 시비 780억원을 더한 1천388억원을 투입해 통합바이오가스화 시설을 설치할 예정이다.
통합바이오가스화 시설이란 유기성 폐자원(음식물, 하수찌꺼기 등)을 통합처리해 바이오가스를 생산하는 시설이다.
시는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 조성을 마치면, 이곳에서 1일 295t의 유기성 폐자원을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1만8천100N㎥의 바이오가스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시는 이 같은 바이오 가스를 활용해 수소연료전지와 수소충전소 등으로 판매해 수익을 낼 계획이다.
앞서 시는 최근 인천도시가스㈜와 바이오가스 활용을 위한 업무협약을 하고, 폐자원의 순환을 위한 기반시설을 만들기로 합의하기도 했다.
김철수 시 환경국장은 “유기성 페자원을 에너지화할 수 있는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 설치로 신재생에너지 생산과 탄소중립을 이뤄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시는 지난해 통합 바이오가스화 시설이 더뎌 과징금을 물 수 있다는 지적을 받자, 가좌 공공하수처리시설로 입지를 확정하는 등 바이오가스화 시설 조성에 속도를 내고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