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미래 먹거리’ 포함 따라 도내 시·군 맞춤형 구조 모색 ‘육성 종합계획’ 수립에 박차
정부가 바이오산업을 미래 먹거리에 포함하자 경기도가 관련 산업 생태계 조성 방향 정립에 분주한 모양새다.
바이오산업은 고부가가치 미래 산업으로 꼽히는 만큼, 도는 경기도내 31개 시·군에 맞는 바이오 세부산업별 구조와 첨단 산업 대응 등 미래 먹거리 발굴에 대비한다는 구상이다.
5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이른 시일 내 경기도 바이오산업 육성 종합계획 수립에 착수, ‘경기도형 바이오 생태계’ 조성에 나선다.
이 같은 도의 움직임은 최근 정부가 바이오산업을 반도체와 더불어 국가첨단전략산업으로 지정한 데 따른 후속 조치로 풀이된다. 기후변화·환경오염 등 세계가 마주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부가가치와 미래 먹거리를 창출, 새로운 산업 지형을 구축하겠다는 취지다.
이에 도는 도내 병원과 대학, R&D연구기관 등을 연계한 바이오 클러스터를 구축 마련을 구상 중이다.
현재 도내에는 10인 이상 바이오 기업은 947곳이 있는 것으로 도는 파악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병원, 대학, 연구기관을 묶어 첨단 지역 특화 바이오산업 생태계 조성이라는 목표를 제시하겠다는 복안이다.
또 도내 31개 시·군 바이오 세부 산업별 구조와 국가정책, 연계와 협력 등의 방안도 마련하고, 기업과 전문 인력 등 바이오산업 기반이 취약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수원 광교와 시흥시 등에 전문 인력 1천500명을 양성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도는 정부의 ‘바이오 특화단지’와 연계하는 방안도 마련한다. 바이오 특화단지로 지정되면 핵심 기반 산업을 구축할 국비 지원과 국·공유 재산 사용료 감면, 예비타당성 조사 특례 등 각종 혜택을 지원받는다.
현재 수원특례시, 고양특례시, 성남시, 시흥시 등 도내 4개 지자체는 산업통상자원부의 바이오 국가첨단산업 특화 단지 공모에 지원했는데, 향후 이곳에 바이오 앵커기업을 육성, 도내 바이오산업이 확산할 수 있는 기반을 도출한다는 계획이다.
도 관계자는 “바이오산업은 굉장히 난이도가 높고 세부적인 산업이라 미래 대응이 중요하다”며 “지역 여건에 따라 바이오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기반을 종합적으로 검토해 최적의 방향 조성안을 도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