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질 논란 인천고령사회대응센터, 내달 市 직영 전환 ‘난항’

직원 “이관 준비 부족” 반발… 市 “예정대로”

인천고령사회대응센터 CI. 누리집 갈무리
인천고령사회대응센터 CI. 누리집 갈무리

 

센터장의 갑질 논란을 겪은 인천고령사회대응센터(경기일보 2월26일자 9면)가 오는 4월 인천시 직영 운영 체제 전환을 앞두고 어려움을 겪고 있다.

 

10일 시에 따르면 센터는 오는 31일 인천사회서비스원 위탁 운영을 끝내고 4월부터는 인천시 직영 운영 체제로 바꾼다. 센터장은 시가 채용하고, 나머지 직원들은 센터장이 채용하는 ‘혼합 직영’ 방식이다.

 

시는 출자 출연기관 규모를 줄이고 센터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직영을 준비한다고 밝혔지만 직원들은 이관 준비가 부족하다며 반발한다. 시와 사서원이 아직 인수인계 계획도 세우지 않았고, 직원들 요구 사항도 반영하지 않아서다.

 

직원들의 가장 큰 요구 사항은 대직자 변경이다.

 

전 센터장이 갑질 논란으로 퇴사하면서 현재 센터장 자리는 공석이다.

 

대직자는 새로 오는 센터장을 대신하고 센터장과 직원들 사이에서 소통하는 업무 등을 하지만 이전부터 소통이 잘 되지 않아 직원들이 업무에 어려움을 겪었다. 또 회계 처리 등을 위해서는 이관한 센터가 사용하는 새로운 서버를 구축해야 하는데, 서버 구축 비용이 올해 본 예산에 반영되지 않았다.서버 구축에는 7~8천만원 정도가 필요하다.

 

이들은 시가 급하게 이관을 추진한다는 이유로 이관에 아직 동의하지 않았다.

 

직원 A씨는 “직원들은 직영을 반대하지 않는다. 다만, 준비되지 않은 직영에 반대한다”며 “지금은 거의 이관에 끌려가다시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요구 사항이 반영될 때까지 동의서를 제출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시는 이관하는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직원들 고용 승계가 가능한데다 사무실도 필요없으며, 서버 역시 현재 사서원 서버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시는 사서원과 함께 3월 말께 인수인계를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직원들과 꾸준히 의견을 나눠 조정 가능한 부분은 조정, 최대한 4월에 이관이 가능하도록 조치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