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병원 등에 집행… 피해 최소화 파견된 군의관·공보의도 진료 돌입
의료 공백을 메우고자 상급종합병원에 파견된 군의관과 공중보건의사들이 본격적인 진료에 나선 가운데 의과대학 교수들이 집단 사직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13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전국 상급종합병원 20곳에 파견된 군의관 20명과 공보의 138명(일반의 92명 포함)은 이날부터 본격적인 진료에 들어갔다.
이들은 이틀 전 각 병원에 파견돼 근무에 필요한 교육을 받은 뒤 진료에 투입됐다. 정부는 향후 상황을 지켜보면서 추가적인 인력 파견을 할 계획이다.
이런 가운데 의과대학 교수들은 '제자'인 전공의들을 지키기 위한 해법을 모색하면서 정부와의 강대강 대치를 타개하고자 집단 행동을 시사하고 있다. 전국 19개 의대 교수는 전날 밤 회의를 열어 ‘전국 의과대학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를 출범했다. 19개 의대는 서울대·연세대·아주대·한림대·단국대 등으로 위원회는 오는 15일까지 사직서 제출 여부에 대한 논의를 마치기로 했다.
위원회의 주장은 정부가 협상의 자리를 마련하지 않거나 전공의에 대한 행정·사법 처벌이 진행될 경우 의대 교수들도 환자들의 곁을 떠나겠다는 것이다.
전공의들이 의료현장으로 복귀하지 않으면서 의대 교수들마저 집단행동에 나설 경우 의료대란은 걷잡을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정부는 의대 교수들의 사직서 제출이 현실화되지 않도록 노력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면서도 의대 교수들 역시 의사이므로 의료법에 따른 ‘진료유지명령’ 대상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하고 있다. 의대 교수와 전공의, 전임의 등은 모두 의사로 진료유지명령 대상이다.
한편 정부가 의대생들에게 제시한 대화 마지노선이 이날 만료됐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동맹휴학에 나선 의대생의 복귀를 위해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와 대화를 제안하고, 이날 오후 6시까지 답신을 해 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