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중국 직구 3조원…소비자민원은 3배로 늘어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중국 온라인 쇼핑몰 등을 통해 지난해 중국에서 국내로 들어온 직구(직접구매) 규모가 70% 늘어났다.
그러나 통관 단계에서 적발되는 '짝퉁'의 대부분을 중국산이 차지하는 데다 이로인한 소비자 피해도 3배나 늘었다.
17일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에서 온 전자상거래 물품 건수는 8천881만5천건으로 전년(5천215만4천건)보다 70.3% 늘었다.
작년 전체 통관된 전자상거래 물품은 1억3천144만3천건으로 36.7% 증가, 늘어난 해외 직구 규모에 비해 중국발이 훨씬 많이 늘어난 셈이다.
중국발 직구 규모는 2020년 2천748만3천건에서 2021년 4천395만4천건, 2022년 5천215만4천건 등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전체 직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20년 43% ▲2021년 50% ▲2022년 54% ▲2023년 68% 등으로 계속 커지고 있다.
지난해 중국발 직구 금액은 23억5천900만달러(3조1천억원)로 전년(14억8천800만달러)보다 58.5%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해외직구 금액은 47억2천500만달러에서 52억7천800만달러로 11.7% 증가, 중국 직구 양상과 큰 차이를 보였다.
전체 해외직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31%에서 45%로 커지며 지난해 미국(14억5천300만달러) 등을 제치고 직구 국가 1위에 올라섰다.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중국 온라인 플랫폼이 초저가 상품을 앞세워 국내 시장 확대에 나섰기 때문으로 분석뵌다.
중국 직구의 급격한 증가에도 불구, 이를 관리·감독하는 인력 등은 부족한 실정이다.
지난해 평택세관에서 처리한 전자상거래 물품 통관 건수는 3천975만2천건이었다. 평택세관 통관 물품은 모두 중국에서 들어온다.
세관 직원 근무일(310일) 기준으로 하루평균 12만8천건의 물품을 들오는 셈이지만 이를 담당하는 특송통관과 직원은 34명에 불과하다.
근무일(310일) 기준 직원 1명이 하루평균3천800여건을 처리하고 있는 셈이다. 엑스레이(X-ray) 전담 직원만으로 보면 1인당 처리 건수는 더 늘어난다.
중국 직구가 늘면서 평택세관의 전자상거래 물품 통관 건수는 2020년 1천326만3천건에서 2021년 2천306만8천건, 2022년 3천164만3천건으로 꾸준히 늘고 있다.
인력 부족으로 인해 부실한 직구 물품이 마구잡이로 들어올 수 밖에 었어 소비자 피해도 늘어나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알리익스프레스 관련 소비자 민원 건수는 673건으로 2022년(228건)의 3배에 달했다. 올해 들어 지난달까지 알리익스프레스 관련 소비자 민원은 352건이었다. 같은 기간 테무 관련 민원은 17건으로 지난해 연간 건수(7건)를 웃돌았다.
특히 지식재산권을 침해한 소위 중국산 '짝퉁'도 꾸준히 증가세다.
지난해 관세청에 적발된 중국산 지식재산권 침해 물품(특송목록 기준)은 6만5천건으로 전년(6만건)보다 8.3% 늘었다.
지난해 국경 단계에서 적발된 지식재산권 침해 물품은 총 6만8천건이었는데 중국발인 경우가 96%((6만5천건)를 차지, '짝퉁' 대부분은 중국산으로 나타났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