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김현정 평택시병 국회의원 예비후보가 18일 분산에너지 특구 지정과 함께 평택에서 수소를 청정 수소를 생산해 RE100 달성이 시급한 기업에 우선 공급하겠다고 공약했다.
이날 김 예비후보는 자신의 선거사무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산업단지가 즐비한 경기도를 비롯한 지자체는 RE100 달성이 발등의 불”이라며 “세계적인 자동차와 에너지 무역항을 보유한 평택을 분산에너지 특화지구로 지정해 미래 에너지 선도도시로 키우겠다”고 밝혔다.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이 지난해 내놓은 ‘경기도 RE100 수요조사 및 지원방안 마련 연구’에 따르면 도내 수출기업 117곳 가운데 26곳이 RE100 이행을 요구받고 있다.
반면 도내 재생에너지 전력 생산량은 2021년 기준 3천281GWh로 아직 도내 소재 RE100 기업 58곳의 전력 소비량(2021년 기준 2만6천623GWh)의 12% 수준에 불과하다.
그는] “글로벌 기업이 반도체를 주문할 때 재생에너지 이용을 요구하는 사례가 급증했지만, 윤석열 정부는 지난해 1월 제10차 전력수급 기본계획에서 2030년 재생에너지 비중 목표치를 30.2%에서 21.5%로 낮춘 반면 원자력 비중은 23.9%에서 32.8%로 높였다”며 “우리 경제의 주축인 수출마저 이념으로 멍들인 윤석열 정부의 청개구리식 에너지 정책은 현재진행형”이라고 비판 수위를 높였다.
또 “RE100은 원전과 탄소저감으로 대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면서 “국내 신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9%에 머물러 있어 이런 상태라면 삼성, LG, SK 등 내로라하는 기업들은 해외로 사업장을 옮길 수밖에 없다”고 꼬집으며 분산에너지 특화지구 지정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2022년 평택시 전력사용량 17.3TWh 가운데 산업용이 82%를 차지하며 대부분 반도체 제조에 쓰일 정도로 산업용 전기 수요가 많은 만큼 지역에서 신재생에너지를 생산·소비하는 분산에너지 특화지구 지정 효과가 크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그는 “2026년 평택에 건립되는 청정수소실증화센터와 2028년부터 해외에서 도입한 청정수소를 이용해 친환경 전력을 생산하고, RE100 달성이 시급한 기업에게 우선 공급하면 된다”며 “농지면적이 1만8천㏊로 도내 두 번째로 넓은 평택에선 분산에너지법 규제 특례를 적용해 영농형 태양광으로 신재생에너지 공급을 늘릴 잠재력도 크다”고 설명했다.
영농형 태양광 발전에 따른 작황 부진 등에 대한 의견을 묻는 경기일보 취재진의 질문엔 “특구 지정 시 태양광 설치는 강제가 아닌 선택이므로 선택의 폭을 넓히는 것”이라며 “궁극적으로 RE100은 우리가 반드시 가야할 길이고 평택은 더욱 필요한 도시니 에너지특구로 지정받는 것은 평택의 정치인으로서 당연히 해야할 일”이라고 답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RE100이 국제표준으로 자리 잡으면서 국제 경제의 새 판을 짜고 있다”며 “김현정이 지역기업을 내쫓는 원전을 이용한 탄소중립이 아닌 신재생에너지 개발로 실질적인 지역 기업의 RE100 달성을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