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항공산업의 지역적 발전을 이끌기 위해서 이를 매개로 금융 정책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2일 인천연구원이 공개한 ‘인천시 항공금융 정책 방향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인천은 국내 항공산업의 주요 거점 지역 중 1곳으로 대한항공·아시아나의 대형 항공사를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 에어부산, 에어서울, 에어인천, 에어프레미아, 제주항공, 티웨이항공, 진에어 등 7개 LCC(Low Cost Carrier)의 국내 최대 사업장이자 74곳의 외국 항공사가 취항하는 항공산업의 메카이다.
이 때문에 항공사가 항공기의 운영 및 조달에 필요한 각종 금융 활동을 의미하는 ‘항공금융’의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여기에 인천에는 드론과 도심항공교통(UAM)과 항공정비(MRO)등의 산업 분야가 성장하고 있다.
특히 인천시가 ‘뉴홍콩시티 프로젝트’를 추진, 인천지역의 금융 사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만큼 항공산업과 연계한 항공금융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따라 항공산업발전조합의 인천 유치를 통해 안정적인 항공금융 생태계 조성에 나서야 한다는 제언이다.
더욱이 인천연구원은 인천이 항공산업 집적지로서 항공산업이 직면하는 금융적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중앙정부에 항공보증기구의 별도 설립을 제안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 ‘인천시 항공산업 지원·육성 조례’에 항공금융의 개념과 항공금융 육성 지원을 담아 제도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인천연구원은 정책 펀드 운용으로 신항공모빌리티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인천시가 정책펀드 출자에 나서면서 주도권을 확보, 인천지역 기업에 일정 비율을 투자할 수 있도록 약정을 만드는 등 정책투자 펀드 운용을 해야한다는 것이다.
앞서 부산시는 지난 2000년대부터 도시기본계획에 ‘제2의 금융도시’를 정책목표 중 1개로 설정해 해양금융을 중심으로 금융산업 육성에 나서고 있다. 이를 통해 선박 등 해양 금융산업이 부산에 집적하는 계기로 자리 잡았다.
윤석진 인천연구원 경제환경연구부 연구위원은 “항공산업과 관련한 금융적 지원 제도의 현황과 신항공모빌리티 등 지역 유망 산업에 대한 금융적 지원 정책 사례를 살펴보고, 인천이 지역적 특성에 부합하는 금융산업을 키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