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김동연 분도론 지뢰, 이재명 대표가 밟았나

image
25일 오전 경기도 의정부시 경기도청 북부청사에서 경기도의회 경기북부지역 국민의힘 의원들이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의 경기북부 분도에 대한 발언을 규탄하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상황이 묘하게 흘러간다. 경기북부특별자치도(북자도) 흐름이다. 김동연 지사가 주창한 사업이다. 2022년 지방선거 공약이다. 취임 후 북자도로 다듬어졌다. 김 지사의 추진 의지는 강하다. 신년 인사회도 북부에서 했다. 2023년과 2024년 연거푸 그랬다. 국민의힘 메가시티에 정면으로 맞섰다. 지난해 등장한 총선 카드다. 올 연초 기자회견에서도 이를 거듭 확인했다. 총선에서의 북자도 공통 공약 채택 캠페인을 선언했다.

 

총선 이슈로 띄우겠다는 의사표시였다. ‘메가시티는 정치쇼’라고 비난했다. 북자도는 이와 차원이 다름도 강조했다. 당연히 대척점은 국민의힘을 상정했을 것이다. 막상 선거가 시작되자 상황이 달라졌다. 국민의힘이 분도를 전격 수용해 버렸다. 분도와 메가시티를 둘 다 추진하겠다고 나섰다. 김 지사는 이런 결정을 다시 맹비난했다. ‘(졸속 수용이) 개탄스럽다’고까지 했다. 이 사이 주제는 맥이 빠졌고 선거에서 묻혀 가고 있었다.

 

그런데 생각지도 않은 곳에서 이슈가 불거졌다. 같은 민주당 이재명 대표다. 23일 의정부 유세에서 이견을 말했다. “북부가 현 상태로 분도하면 경기 북부에서 연간 8천억원, 각 시•군에서 4천억원, 총 1조2천억원의 손실이 발생한다”고 밝혔다. 장기 과제까지 부정하지는 않았다. 단계적 분도론을 긍정적으로 평했다. 하지만 국민의힘이 이 틈을 비집었다. 분명한 입장을 밝히라며 압박했다. 북부지역 민심을 충동하고 있다.

 

여기에 ‘강원서도’ 발언까지 등장했다. ‘강원서도로 전락할 것’이라는 표현이다. 국민의힘이 곧바로 총공세에 나섰다. 강원도 비하라며 사과를 촉구했다. 강원도 정치권에서도 들고 일어났다. 급기야 이 대표가 직접 사과하고 진화에 나섰다. “표현을 과도하게 한 것 같다”고 해명했다. 말 실수와 사과는 흔한 일이다. 이 표현을 굳이 판단하고 갈 필요는 없다. 그보다는 본질적인 문제를 주목한다. 이상하게 꼬여 버린 분도론이다.

 

사실 예견이 가능한 상황이었다. 국민의힘이 이 대표의 분도 반대 소신을 알고 있었다. 지난 2월 한동훈 위원장이 이런 요구를 했다. “이재명 대표는 분도 입장을 밝히라.” 이런 노림수에 ‘강원서도’까지 겹쳐 꼬인 셈이 됐다. 분도론, 즉 북자도는 김동연 지사가 총선에 놓은 덫이다. 국민의힘을 향한 승부수였다. 그런데 여기에 이재명 대표가 걸려든 상황이다. 지역 비하 설화까지 겹치면서 이 대표가 사과하는 지경까지 왔다.

 

당초부터 공통 공약 채택 캠페인에 이견은 있었다. 이 대표가 분도 반대론을 갖고 있다는 점, 민주당 의원들의 참여가 불편하다는 점 등이었다. 그럼에도 김 지사는 캠페인을 강행했다. 그러다가 이 상황에 왔다. 단순한 공약의 미스매치로 끝날지 선거 후 다른 상황으로 전개될지 지켜보게 되는 대목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