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당근책 제시했지만… 의료계, ‘증원 백지화’ 강경

의협, 법적 처분 감행시 총파업
선거 캠페인 ‘궤멸적 타격’ 경고
정부, 수련수당·근무시간 단축 등
전공의 회유책 방안 마련 노력

임현택 소청과의사회장 차기 의협회장. 연합뉴스
임현택 소청과의사회장 차기 의협회장. 연합뉴스

 

정부가 의료계에 대한 대화 요청에 이어 예산 논의에도 참여할 것을 제안했지만 의료계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2천명 증원을 ‘백지화’하지 않으면 대화조차 하지 않겠다는 입장이 여전한 모습이다.

 

임현택 차기 대한의사협회 회장은 28일 “의대 증원에 대해 원점에서 재논의하지 않고 의사에 대한 법적 처분을 감행한다면 총선 캠페인·총파업 등을 통해 투쟁하겠다”며 “정부·여당의 태도에 따라 다양한 수단으로 타격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의사에게 가장 모욕을 주고 칼을 들이댔던 정당에 궤멸 수준의 타격을 줄 수 있는 선거 캠페인을 진행할 것”이라며 “의사 출신 개혁신당 비례후보를 반드시 당선시킬 것이며, 의협 손에 국회 20∼30석 당락이 결정될 만한 전략을 가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런 가운데 전공의들의 근무 이탈이 장기화되며 경기지역 의대 교수들의 업무 부담도 커지고 있다.

 

실제 아주대병원 한 진료과의 경우 기존에는 전공의 5∼6명이 맡았던 야간 당직 업무를 현재는 교수 3명이 돌아가며 담당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아주대 의대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최근 내부 공지 등을 통해 소속 교수들에게 법정 근로 시간인 주 52시간에 맞춰 근무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다만 비대위 차원에서 구체적인 근무 방식을 정하지는 않았다. 당직을 선 다음 날에는 근무하지 않거나, 외래 진료를 줄이도록 하는 등의 방안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당장 전공의들의 처분은 없을 것이라면서 수련보조수당 지급, 연속근무시간단축 등의 당근책을 제시하고 나섰다.

 

전병왕 중앙사고수습본부 총괄관은 “전공의 여러분들께서는 이달 안에 수련병원으로 복귀해주시길 바란다”며 “유연한 처분의 수준은 당정이 협의 중이다. 그 안에 복지부가 (면허 정지) 행정처분을 바로 하지는 않겠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처분 대상은 계속 늘어날 것”이라면서 조기 복귀를 촉구했다.

 

한편 의대 교수들은 지난 25일부터 ‘무더기 사직서 제출’을 시작했다. 남은 교수들 역시 29일까지 개별적으로 사직서를 제출할 예정이어서 사직 의사를 표명하는 의대 교수 규모는 점차 커질 전망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