市·연구원·iH, 사업 지정 적극 대응
인천을 125년간 남북으로 단절시킨 경인국철(경인선·1호선)에 대한 지하화 사업이 속도를 낼 수 있을지에 관심이 쏠린다. 인천시는 국토교통부의 철도 지하화 선도사업에 경인선을 포함시킬 수 있도록 인천연구원 및 인천도시공사(iH)와 함께 적극 대응에 나설 방침이다.
4일 국토부와 인천시 등에 따르면 국토부는 서울 용산구 서울드래곤시티에서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추진 협의체’ 출범식을 했다. 이날 출범식에는 유정복 인천시장을 비롯해 오세훈 서울시장, 박형준 부산시장 등 16곳의 광역지자체 관계자가 참석했다.
국토부는 협의체를 통해 철도 지하화 선도사업을 지정하기 위한 민·관·학·연의 거버넌스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국토부는 이를 통해 철도를 지하로 이전하고, 철도와 인접 지역을 재창조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전문가의 의견을 모을 예정이다.
이를 위해 국토부는 협의회를 3개 분과로 나눠 운영할 계획이다. 우선 지하화 기술분과를 통해 지역별 최적의 지하화 공법을 논의하고, ‘도시개발·금융분과’를 통해 상부공간의 개발 방향과 사업성 제고를 위한 아이디어 발굴에 나선다. 이어 지자체와의 소통 및 협력을 위한 ‘지역협력분과’도 운영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이번 출범식을 시작으로 분과 회의를 수시로 열 예정이다. 특히 지자체를 대상으로 사업 구상을 제안한 것을 토대로 컨설팅도 이어갈 예정이다.
국토부는 오는 6월까지 철도 지하화 선도사업 지정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연말까지 선도사업 지역을 결정할 계획이다. 앞서 정부는 지난 3월 ‘철도지하화 및 철도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한 뒤 철도 지하화 통합개발 종합계획을 마련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인천시는 선도사업 지정 신청을 위한 내부 검토에 착수했다. 앞서 인천시는 지난해 1월 지하화 추진전략 수립용역을 추진, 상부부지 개발 구상을 그리고 있다. 사업 대상지는 인천역부터 구로역까지 경인선 총 21개 정거장 중 인천 구간인 인천역부터 부개역까지 11개 정거장 14㎞이다. 총 사업비는 약 9조5천408억원에 이른다. 인천시는 사업 필요성과 실현 가능성, 사업비 조달 가능성, 기대효과 등에 대한 내용을 담아 국토부에 선도사업 지정을 신청할 예정이다.
특히 인천시는 경인선 인천 구간의 지하화가 이뤄지는 것을 전제로 상부공간 개발에 iH가 참여할 수 있게 해줄 것을 국토부에 건의하고 있다. 현재 특별법엔 LH(한국토지주택공사)만 사업이 가능하다.
인천시 관계자는 경기일보와의 통화에서 “인천은 무려 100년이 넘도록 경인선으로 인한 지역 단절이라는 피해가 컸다”며 “인천 구간이 선도사업으로 지정 받을 수 있도록 비용과 경제적인 면에서 골고루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협의체 발족으로 보다 다양한 전문가들의 의견 교류를 통해 효율적인 개발이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