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시·도지사협 “전공의, 정부 손 잡아달라”에 “협의 없는 성명 유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지난달 28일 분당서울대병원을 찾아 의료진과 비상 진료체계를 논의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지난달 28일 분당서울대병원을 찾아 의료진과 비상 진료체계를 논의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집단 사직을 지속 중인 전공의들에게 대통령과의 대화를 촉구한 대한민국 시·도지사협의회 공동 성명에 “의대 정원 확대 문제는 사회적 대화로 풀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전공의의 전향적 자세를 요구한 협의회와 궤를 달리한 것인데, 실제 이날 성명도 김 지사를 제외한 16개 시·도지사 명의로 발표됐다.

 

협의회 회장을 맡고 있는 박형준 부산시장은 2일 ‘전공의 여러분, 이제는 정부가 내민 손을 잡아주십시오’라는 제목의 공동 성명을 통해 “어제(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의 국민 담화는 의료 개혁의 필요성과 의대 정원 확대의 불가피성에 대한 정부 정책 배경, 그간의 경과를 국민들께 소상히 알린 것”이라며 “이제 의료계가 화답할 차례”라고 밝혔다.

 

의료계가 합리적 대안을 마련해 적극 소통에 나서야 한다는 정부의 요구를 성명에 그대로 반영한 것이다.

 

이어 박 시장은 “무조건 의대 증원은 안 된다는 의료계의 입장은 국민의 동의를 얻을 수 없다”며 “더욱이 지방 필수 의료체계의 붕괴 위험을 절감하고 있는 지역의 입장에서는 받아들일 수 없는 주장”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 시장은 “의료계가 대화에 적극 나서 준다면, 시·도지사들도 의료계 입장을 충분히 정부에 전달할 의지가 있다”고도 언급했다.

 

반면, 도는 같은 날 공식 입장을 내고 “김 지사는 의대 정원 증원과 관련해 이미 여러 차례 입장을 밝힌 바 있다”고 말했다.

 

실제 김 지사는 지난달 28일 비상 진료체계 점검차 분당서울대병원을 방문해 “의대 정원 확대는 사회적 대화로 풀어야 하며 중앙정부의 밀어붙이기로는 문제를 풀 수 없다”며 “오래 누적된 구조적 문제인 만큼 정교하게 중장기적 계획을 세우고 추진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어 도는 협의회 성명에 대해서도 “전공의들에게만 대화에 참여할 것을 촉구할 뿐, 정부의 전향적 입장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며 아쉽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성명 발표 시기와 내용에 관해 충분한 사전 협의가 없었던 점에 대해서는 유감의 뜻을 밝힌다”고 덧붙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