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거듭 밝힌 바 있다. 이민청 유치 경제 효과다. 국가기관 유입이라는 상징성이 크다. 연관되는 각급 기관도 따라온다. 시·군으로서는 거대한 경제 주체 하나를 받는 것이다. 경기연구원이 추계한 기대효과가 있다. 생산 유발 효과만 5천150억원 상당이다. 부가가치 유발 효과도 3천530억원이다. 기대되는 신설 일자리를 4천198명으로 본다. 지역경제 활성화에 더 없는 효자다. 그래서 지방도 난리다. 부산, 경북, 충남, 전남 등이 나서고 있다.
수도권에 설치돼야 한다. 이민청 설립 근거가 그 이유 자체다. 인구절벽을 해결할 특화 대책이다.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한 비상책이다. 정책 대상이 외국에 거주하는 외국인이다. 1차적 수요자가 국내 거주 외국인이다. 현재 국내 거주 외국인은 230만명이다. 절대 다수가 수도권에, 그중에도 경기도에 있다. 재화의 국내 이동을 기준 삼는 국토균형발전론이 투영될 사안이 아니다. 안산시에 사는 외국인의 업무를 ‘지방’으로 보내면 되겠나.
논리가 분명하면 곧바로 유치전으로 가야 한다. 지자체에서는 상당 부분 진행돼 있다. 가장 활발한 유치활동을 벌이고 있는 곳은 안산시다. 116여개의 주한 대사관에 안산시의 외국인 정책을 홍보하고 있다. 각국의 주한 대사관을 직접 방문해 협조와 지지를 요청하고 있다. 김포시·고양시 등 지자체들도 TF 구성 및 공동건의문 발표 등의 노력을 이미 경주하고 있다. 때마침 차려진 22대 총선판도 이민청 유치의 각축장이다. 관련 공약이 아주 많다.
마침 주목할만한 행사가 마련된다. 경기도가 이민청 유치 토론회를 열기로 했다. 25일 예정된 ‘출입국·이민관리청 경기도 유치 토론회’다. 전문 기관으로 한국이민행정학회가 함께 주관한다. 이 문제를 지속 보도한 본보 취재팀도 함께 자리를 할 수 있게 됐다. 경기도 관계자는 “도민 공감대 형성을 위한 토론회 개최를 통해 경기도에 이민청이 유치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설명했다. 지자체별 움직임을 하나로 응축시킬 더 없는 기회다.
바라건대 유치 희망 지자체들이 참여하면 좋겠다. 31개 시·군 모두가 관심 있는 것은 아니다. 절박한 의지와 논리적 타당성이 있는 지자체들이 있다. 이들이 함께하면 토론회의 내실이 배가될 것이다. 해당 지자체가 입장을 펼 수 있는 토론회 구성을 해보자. 경기도 안에서 펼쳐지는 ‘이민청 유치 예선전’이 전개되길 바란다. 조금 격해지고 팽팽해져도 괜찮다. 그런 토론회의 열기가 결국 이민청 유치를 향한 1천300만의 총의로 이어질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