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지역의 근현대 유산에 대한 관리 및 활용방안 마련에 나선다.
10일 시에 따르면 오는 16일 오전 10시부터 중구 인천생활문화센터 칠통마당 다목적실에서 주민과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한다. 시는 지정·등록하지 못한 국가유산 중 별도의 가치를 인정 받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정해진 절차를 거쳐 ‘지역 유산’으로 정했다. 시는 지역 유산들에 대한 구체적인 관리규정을 마련, 관리 및 활용의 기준을 세우려 한다.
특히 시는 개항장을 비롯해 지역유산이 곳곳에 있어 관리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보고 있다.
앞서 시는 지난 2021년부터 태스크포스(TF)를 발족, 지역유산 관리 및 활용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체계를 찾아왔다. 시는 이번 설명회에서 그 동안 찾은 지역유산 활용 방안에 대해 시민과 관련 단체 등에 설명하고 의견 수렴에 나설 예정이다.
이를 위해 시는 지역유산 관리 방안을 ‘수집·관리·목록화’와 ‘기초조사’ ‘정밀조사 대상 선별’ ‘지역유산위원회 구성·심의’, ‘선정 및 활용'등 5가지 단계로 나눴다.
시는 이번 활용 방안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조사하고, 관리해온 많은 지역유산 관련 자료를 취합·정리해 목록화할 계획이다. 또 기초조사에 계량적 지표를 도입해 객관적인 선정 방법을 제시하고, 활용성을 고려한 기초조사 지표를 만들어 선정 이후의 유산 활용에 적용할 방침이다. 여기에 시는 민선8기 공약 사업인 제물포르네상스 프로젝트 등 다양한 국가사업과 연계한 활용 방안도 제시할 예정이다.
김충진 문화체육관광국장은 “성공적인 지역유산의 관리 및 활용에는 결국 주민 참여가 중요하다”며 “주민이 호응할 때 가장 빛을 발한다”고 했다. 이어 “설명회를 통해 받은 의견을 검토해, 오는 5월까지 용역을 마무리하고 6월께 최종 확정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