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총선전쟁 끝내고, 민생•경제 살피는 데 총력 기울여야

제22대 의회 권력의 향배를 가르는 4·10 총선거가 끝났다. 경기도 3천263개소를 비롯해 전국 1만4천259곳 투표소에서 일제히 투표가 실시됐다.

 

정책·공약 경쟁은 안 보이고 막말·선동·헐뜯기 등이 난무해 정치 혐오를 부추기는 선거였지만, 유권자들은 주권을 포기하지 않고 투표에 참여했다. 경기도 66.7%, 인천 65.3% 등 전국의 투표율은 67.0%를 기록했다. 유권자의 투표 참여가 정치 변화의 출발이라는 점에서 모두 신성한 한 표였다.

 

4·10 총선은 좋은 선거는 아니었다. 선거운동 기간 내내 국민들에게 엄청난 스트레스를 줬다. 역대급 최악이라는 평가가 나올 정도로 막말 대잔치의 혐오 선거였다. 많은 국민의 생각이 그랬다.

 

이번 총선은 정책도, 감동도, 인물도 없었다. 서로 상대를 심판한다는 프레임 공방만 오갔다. 국민의힘은 ‘거대 야당 심판’을 강조하며 개헌과 탄핵 단독 추진이 가능한 “범야권 200석을 막아달라”고 읍소했다.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정권 심판’을 강조하며 “무능하고 무책임한 정부와 여당에 경종을 울려달라”고 목청을 높였다. 결과는 야당이 압승했다.

 

안타깝게도 선거 이후 국가를 어떻게 끌고 가겠다는 비전과 방향성을 읽을 수 없었다. 국민들이 원하는 건, 양극화 정치에 종지부를 찍고 대화와 타협의 정치를 복원하는 것인데 쉽지 않아 보인다.

 

21대 국회는 거대 양당의 진영논리와 팬덤 정치에 대립과 반목으로 치달으며 국민들에게 큰 실망을 줬다. 지금 분위기로는 22대 국회에서 양당 정치가 더욱 견고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양당제 극복을 명분으로 내걸고 등장한 제3지대 신당은 존재 의미가 별로 없다. 그래서 선거 이후가 더 걱정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국 정치의 근본적 변화와 쇄신이 절실하다. 4년간 나라와 지역을 위해 뛰어줄 일꾼들이 양극화 정치에 매몰돼선 안 된다. 그들이 바라보고 가야 하는 것은 대한민국의 미래와 국민이다. 지금처럼 헐뜯고 증오하는 행태로는 정치도, 대한민국도 바꾸지 못한다. 정치가 삼류로 전락하면 더 깊은 정치 혐오를 조장하게 됨을 명심해야 한다.

 

국민의 선택은 끝났고, 이제 여야 모두 그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여야 한다. 유권자의 소중한 한 표 한 표의 의미를 되새겨야 한다. 국민들의 바람은 여야가 분열·갈등·반목을 접고 통합해 민생을 살피는 데 주력하는 것이다.

 

우리는 지금 대내외적으로 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다. 나라 발전과 성장을 위한 각종 개혁을 이뤄내야 하고, 고금리·고물가 속에 심각한 경제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인구 문제, 청년 실업, 기후위기 대응 등 과제가 산적해 있다. 이젠 국민만 바라보고 민생, 경제에 올인하길 바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