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 쇄신은 인적 쇄신이 선행”
대통령실과 정부·여당이 11일 대대적인 인적 쇄신을 예고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4·10 총선에서 여당인 국민의힘이 참패함에 따라 민의를 받들어 국정 쇄신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한덕수 국무총리와 이관섭 대통령비서실장은 물론 대통령실 소속 고위 참모진까지 일괄적으로 사의를 표명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총선에 나타난 국민의 뜻을 겸허히 받들어 국정을 쇄신하고 경제와 민생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고 이 비서실장이 브리핑을 통해 전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국정쇄신에 대통령실 참모나 내각 인적쇄신도 포함되나’라는 물음에 “선거 결과를 보셔서 아시겠지만 국민의 뜻을 받들자면 국정을 쇄신하는 게 당연하고 국정을 쇄신한다는 것은 인적쇄신이 선행돼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한 총리가 윤 대통령에게 구두로 사의를 표명했다”며 “대통령비서실은 비서실장과 정책실장, 전 수석이 윤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했다. 안보실은 제외된다”고 밝혔다.
아울러 ‘경제와 민생을 잘 챙기겠다고 했는데 야당과의 협조와 소통에 나서겠다는 뜻인가’라는 물음에는 “그렇게 해석하시면 좋다”고 했다.
대통령실 고위급 참모의 일괄 사의를 윤 대통령이 수용할 경우 지난해 12월 ‘3실장 6수석 체제’로 진용을 갖춰 출범한 대통령실 2기는 약 3개월 만에 물러나게 된다.
교체 대상은 이관섭 비서실장과 성태윤 정책실장, 한오섭 정무수석, 이도운 홍보수석, 박춘섭 경제수석, 장상윤 사회수석, 박상욱 과학기술수석 등이며, 시민사회수석은 ‘언론인 회칼테러 발언’ 논란으로 황상무 전 수석이 자진해 물러난 이후 공석이다.
앞서 이날 오전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이 가장 먼저 사퇴를 선언했다.
그는 “민심은 언제나 옳다. 국민의 선택을 받기에 부족했던 우리 당을 대표해 국민께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국민의 뜻을 준엄하게 받아들이고 저부터 깊이 반성한다”며 “선거 결과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지고 비대위원장직에서 물러난다”고도 했다.
‘총선 패배에 대통령실과 공동 책임이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는 “제 책임”이라고 잘라 말한 뒤 “국민의 마음을 얻지 못한 것이고, 책임은 오롯이 저에게 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정부· 여당이 선제적인 인적 쇄신에 나서면서 향후 국정 운영 기조에도 큰 변화가 예상된다.
정치권 안팎에서는 윤석열 대통령이 야당 대표와 협치를 위한 대화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여권 관계자는 “윤 대통령이 그동안 ‘여소야대’ 상황을 매우 안타깝게 생각한다는 얘기가 있었다”며 “이참에 야당 대표와 가끔 만나 대화를 나누면서 실타래처럼 꼬인 현안에 대한 협조를 구하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