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석 위례 시민모임 대표, “위례는 미래세대의 터전, 숙원사업 해결할 것”

image
김광석 위례 송파편입 시민모임 대표. 김동수기자

 

“하남시 위례동은 송파신도시로 계획됐지만 지자체 간 행정구역 통합이 이뤄지지 않은 채 지금에 이르러 주민들의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22대 총선을 전후, 하남 위례 주민들이 서울 송파 편입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서울과 성남 등 인근 3개 시로 나뉘면서 교통과 교육, 행정, 복지 등 여러 면에서 불편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 중심에서 행정구역 통합 및 서울 편입(송파)을 위한 위례 시민모임을 이끄는 김광석 대표(60)가 있다.

 

김 대표는 지난해 하반기부터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22대 총선 전부터 정치권으로부터 불거진 서울 편입과 맞물려 위례 시민모임을 결성한 후 국회와 여야 정치권 등을 오가며 송파 편입 선봉장 역할을 자처하고 있다.

 

위례의 송파 편입은 하남 정치권도 찬성하는 상황이다. 22대 총선에서 하남갑에 출마했던 여야 후보 모두 송파 편입에 찬성했다.

 

또 하남시의회는 지난해 12월 말 ‘위례신도시 통합 특별법 제정 촉구 결의안’을 통과시키며 하남시 서울 편입과 상관없이 위례신도시만이라도 서울에 편입해야 한다고 했다.

 

김 대표는 “위례신도시는 아직 위례신사선이 착공조차 되지 않았지만 대다수 주민이 위례에서 즐겁게 살아가는 이유는 남한산성 등 수려한 숲세권 단지로 개발됐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교통과 교육 등 10여년간 지속되고 숙원 사업은 하루빨리 해결돼야 할 과제로 꼽히고 있다. 실례로 서울 출·퇴근자가 대다수인 주민들이 서울 버스가 들어오지 않아 출퇴근 때마다 애를 먹고 있다.

 

인근 송파·장지·마천 차고지를 출입하는 버스를 이용할 수 없는 데다 인근 환승역인 장지·복정·마천역에 가기 위해서는 배차 간격이 불규칙한 버스를 이용해야 하는 것도 8년째 지속되고 있다. 또 초·중·고교 과밀학급 문제도 당장 해소해야 할 사안이다.

 

그렇다고 하남시청을 오가는 것도 호락호락하지 않다. 유일한 38번 버스는 시청까지 가는 데만 1시간 이상 소요된다.

 

김 대표는 “하남 위례는 현재 행정구역이 하남시이기에 하남시민으로서 의무는 다하고 있지만, 위례동은 하남시로부터 완전 소외된 육지 안의 섬”이라며 “현세대는 물론 미래 세대 또한 살아가는 터전이기에 위례신도시를 바로잡는 것을 숙명으로 알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