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4월 16일 전라남도 진도 해역에서 제주도로 향하던 세월호가 침몰했다. 이 사고로 단원고 학생 250명 등 승객 304명이 사망했다. 사고 후 10년이란 세월이 흘렀지만, 사망자 중 5명은 아직도 돌아오지 못했다.
세월호 참사 10주기를 맞아 경기 안산시 단원구를 찾은 경기일보 취재진은 그동안 세월호 참사와 관련하여 흔적을 남긴 이들에게 지난 10년과 앞으로의 10년을 물어봤다.
가장 먼저 만난건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장동원 팀장. 장 팀장은 세월호 참사 생존자 장애진씨의 아버지다. 그는 24년간 다녔던 직장까지 그만두고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에서 일하고 있다.
장 팀장은 “참사 유가족들은 매일 2014년 4월 16일에 머물러 있다”며 입을 열었다. 이어 장 팀장은 “세월호 참사 진상규명 등 진실을 알리기 위해 지난 10년간 싸워왔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몸과 마음이 많이 망가졌다”고 전했다.
안산시선부종합사회복지관 임남희 부장은 고잔복지센터에 만들어진 ‘힐링센터 0416 쉼과힘’에서 2014년 8월부터 현재까지 근무를 하고 있다. 임 부장은 사회복지사들과 함께 안산에 남겨진 참사 유가족들을 돌보는 등 시민들과 유가족들의 다리 역할을 도맡아 해왔다.
임 부장은 "몇년전까지만 해도 교복을 입은 아이들만 봐도 눈물이 나왔다"며 “이제는 시간이 흘러 성인이 된 청년들을 봐도 마음이 아프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두 사람이 들려주는 10년간의 자세한 이야기는 영상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영상 및 사진 제공 | 416세월호참사가족협의회 416tv, 안산시 선부종합사회복지관 임남희 부장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