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우 개선, 파업권 보장’…전공의, 의료 현장 복귀 조건 내세워

사직 전공의 류옥하다씨가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센터포인트 빌딩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사직 전공의 150인에 대한 서면 및 대면 인터뷰 정성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사직 전공의 류옥하다씨가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센터포인트 빌딩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사직 전공의 150인에 대한 서면 및 대면 인터뷰 정성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공의 집단 사직이 두 달째 이어지는 상황에서 그동안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를 주장해왔던 전공의들이 처우 개선, 파업권 보장 등 다른 복귀 조건을 내세웠다.

 

대전성모병원 사직 전공의 류옥하다씨는 16일 서울 종로구에서 ‘사직한 전공의들은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가? 전공의 150인에 대한 서면 및 대면 인터뷰 정성조사 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통해 새로운 복귀 조건을 설명했다.

 

이번 인터뷰는 지난달 13일부터 이달 12일까지 서면 및 대면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인턴부터 전공의 4년차까지 의료진 15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전공의들의 의료 현장 복귀를 위해 선행돼야 할 점으로 ‘전공의에 대한 처우 개선’을 꼽았다. 본인이 필수의료 과목 2년차 레지던트라고 밝힌 한 전공의는 “수련을 하며 기소당하고 배상까지 하게 된 선배들을 많이 봤다”며 “선의의 의료행위에 대한 면책이 주어지지 않는다면 복귀하지 않겠다”고 했다. 다른 필수의료 과목 전공의 또한 “환자 사망을 포함해 불가항력적인 의료 사고에 대한 무분별한 소송을 막는다면 수련현장으로 복귀하겠다”고 했다.

 

이외에도 ▲노동권 보장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 경질 ▲고되고 난이도 높은 업무에 대한 충분한 보상 ▲업무개시명령과 같은 강제노동조항 폐지 ▲군복무 기간 현실화 등을 복귀 조건으로 꼽았다.

 

류옥하다씨는 이러한 인터뷰 결과를 가지고 “정부는 전공의들에게 ‘환자를 버리고 환자 목숨을 담보로 하고 있다’는 프레임을 씌우는 대신, 더 이상 의료체계가 불능이 되지 않도록 의대 증원을 원점에서 다시 논의해 달라”고 촉구했다.

 

이런 가운데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해 휴학계를 제출한 의과 대학생은 이날 기준 총 1만445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4월 기준 전국 의대 대학생(1만8천793명)의 55.6%에 해당하는 규모다.

 

각 의대에선 그동안 개강을 미뤘지만 더 이상 연기할 수 없다고 보고 온라인 등으로 수업을 시작하고 있다. 다만, 수업 거부가 이어질 경우 학생들은 집단 유급에 처할 수 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