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주택 매매 가격의 하락폭이 줄고, 전세·월세 가격의 상승폭이 커지면서 대체로 상승세다.
22일 인천시의 ‘2024년 3월 부동산 시장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인천의 주택 매매가격변동률은 지난 2월 –0.1%에서 3월 –0.06%로 하락폭이 줄었다. 미추홀구 등에서 하락했으나, 중·부평·서구 등에서 상승하며 하락폭이 줄었기 때문이다.
시는 중구(0.13%)가 영종도의 일자리 증가로, 부평구(0.04%)가 대규모 입주물량 소진으로 매매가격이 하락에서 상승 전환했다고 분석했다. 서구는 0.04%를 기록하며 상승폭을 유지했고, 연수구는 0%로 교통망 개선 기대심리로 하락에서 보합으로 전환했다.
반면, 동구(–0.07%), 미추홀구(-0.4%), 남동구(-0.1%), 계양구(-0.11%) 등은 매수 관망세로 하락했다.
또 주택 전세가격지수 변동률은 중·미추홀·연수구 등에서 상승하며 상승폭이 커져, 지난 2월 0.24%에서 3월 0.42%로 높아졌다. 중구(0.58%)는 영종도의 전세수요가 많아져 하락에서 상승전환했고, 연수구는 학군 수요로 0.69%의 상승을 기록했다. 미추홀구(0.46%)와 남동·부평구(0.41%), 계양구(0.19%)는 교통 인프라를 갖춘 역세권 단지 위주로 상승폭이 커졌다.
이와 함께 월세통합가격도 중·남동·서구에서 상승하며 지난 2월 0.19%에서 0.23%로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12월(0.06%) 이후 지속적으로 높아진 수치다.
시 관계자는 “대체로 지난달보다 하락폭은 줄고, 상승폭은 커져 상승세에 있다”며 “다만 동구 등 일부 원도심은 하락세가 여전하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