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공항공사 등 세계 최초 UAM 통합운영 실증 성공

OPPAV 비행 모니터링. 공항공사 제공
OPPAV 비행 모니터링. 공항공사 제공

 

인천공항공사는 대한항공, 현대자동차, KT, 현대건설과 함께 세계 최초로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 통합운용분야 실증’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24일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2025년 UAM 상용화를 목표로 한국형 UAM 운용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K-UAM 그랜드챌린지 1단계 실증사업’을 올해 말까지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에는 국내 5개 컨소시엄이 참여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공항공사가 속한 ‘K-UAM 원팀’이 세계 최초로 UAM의 지상 이동부터 비행 및 착륙에 이르는 모든 단계의 안정성을 성공적으로 검증한 것이다.

 

지난달 11일부터 이달 12일까지 전라남도 고흥항공센터에서 이뤄진 통합 운용성 검증은 UAM 기체의 정상 운영 시나리오부터 비정상 대응, 충돌 예방관리까지 모두 10개의 시나리오를 포함했다.

 

각 시나리오별 3회씩 총 30회의 실증 운항을 했으며, 이 과정에서 공항공사는 UAM 교통관리체계와 버티포트(UAM 이륙장) 운용 관련 기술 검증 역할을 담당했다.

 

실증에는 항공우주연구원이 국내 기술로 개발한 오파브(OPPAV) 기체와 함께 다양한 시나리오 검증을 위한 헬리콥터와 드론을 통합적으로 활용했다.

 

공항공사는 네이버시스템, 루다시스와 같은 국내 중소기업 및 항공우주산학융합원과 협력해 개발한 UAM 교통관리 시스템을 통해 도심 환경에서의 UAM 운영 안정성을 검증했다. 또 영상감시 시스템의 성공적인 검증으로 UAM 상용화 가능성도 확인했다.

 

이학재 공항공사 사장은 “이번 최초 UAM 통합운용 기술 검증을 바탕으로 앞으로 개선점 보완과 유관 기관 협력을 통해 정부가 추진하는 K-UAM 로드맵을 충실히 이행하겠다”며 “산업 생태계 구축에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