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 지원·방범창 사업 참여율 저조 지하차도 7곳 자동 차단시설도 실패 일각선 “최소한 장치라도 마련해야” 市 “지원사업 참여 도모·예방 총력”
인천의 반지하 주택과 지하차도 등에서 올 장마철 또다시 침수 피해가 날 우려가 크다. 인천시 등이 수년째 추진 중인 각종 침수 예방 사업들이 지지부진하기 때문이다. 지역 안팎에선 장마철 전까지 개폐식 방범창과 차량 진입차단시설 등 침수 피해를 줄일 최소한의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5일 시와 10개 군·구 등에 따르면 시는 침수 위험이 큰 지역 반지하주택 세입자 3천900여가구를 안전한 임대주택 등으로 이주하도록 지원하는 사업을 추진 중이다. 시가 침수 피해를 분석한 결과, 인천의 반지하주택 2만4천200가구 중 3천900여가구가 침수 피해 우려가 크다. 이 때문에 시는 인천도시공사(iH), LH(한국토지주택공사)와 연계해 임대주택 입주를 돕고 이사비 등을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해마다 고작 100여가구만 사업에 참여하는 등 지지부진하다. 지난 2022년엔 126가구, 지난해엔 152가구가 참여했고, 올해는 참여자가 없다. 시는 세입자들의 가계상황과 비교해 비싸거나 위치가 적합하지 않은 등의 이유로 참여율이 낮은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시가 지난해부터 추진한 반지하주택 침수 예방을 위한 개폐식 방범창 설치 사업도 더디다. 현재 579가구(14.8%)만 지원하는데 그치고 있다. 일괄적인 설치 지원이 아니라, 주민들이 신청해야 하다 보니 참여율이 낮은 것이다. 앞서 지난 2022년 장마철에 인천에서는 406가구의 반지하주택이 넘친 빗물에 침수되는 등 해마다 침수 피해가 반복하고 있다.
특히 시가 지하차도 침수 예방을 위해 마련한 사업들도 제자리걸음이다. 시는 지하차도에 대한 맞춤형 침수 방지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 2월부터 용역을 하려 했지만 3차례나 유찰됐다. 시는 곧 4번째 용역에 나서지만 오는 10월에 끝나는 탓에 올해 장마철 대책 마련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와 함께 지하차도 침수 때 자동으로 차량의 진입을 막는 차단시설 설치도 해를 넘길 전망이다. 국비 확보에 실패하면서 관련 예산이 부족해 지하차도 7곳은 내년에나 설치가 이뤄진다. 현재 인천의 지하차도 31곳 중 22곳(71%)에는 차단시설이 없다.
조성윤 인천연구원 인천안전도시연구센터장은 “기후변화로 장마철마다 피해가 속출하고, 반지하주택 세입자 등 사회적 약자들의 피해는 더 크다”며 “이런데도 시의 침수 예방 정책들은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하차도 차량 진입 차단시설이나 모래주머니 등 최소한의 장치가 필요하다”며 “3개월여 남은 장마철 피해를 줄이기 위한 지원사업의 개선 및 홍보가 시급하다”고 말했다.
시 관계자는 “아직 장마철까지 시간이 남은 만큼 지원 사업 참여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겠다”며 “지하차도는 실시간 모니터링을 해 조치하는 등 당장 할 수 있는 침수 예방 준비도 하겠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