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전보다…초등생 평균 키 3.5㎝ ↑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제공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제공

 

우리나라 초등학생 평균 키가 10년 전보다 3.5㎝가량 커졌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은 2일 서울 롯데월드타워에서 '사이즈코리아 성과 발표회'를 열고, 10년 전과 비교했을 때 현재 초등학생(7~11세) 남자와 여자의 평균 키가 각각 4.3㎝, 2.8㎝씩 커졌다고 밝혔다.

 

국표원은 지난해 4~12월 한국의 만 7~19세 아동·청소년 1천118명(남자 571명·여자 547명)을 대상으로 인체 치수를 조사했다. 3차원 스캐너를 활용해 키, 몸무게, 다리·팔 길이, 허리둘레 등 총 314개 항목에 대한 조사가 이뤄졌다.

 

조사 결과 지난 6차 조사(2011~2013년) 때와 비교했을 때 아동·청소년의 평균 키는 남녀 모두 증가했다. 체격이 커진 20~84세 성인 대상 조사 결과와도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초등학교 연령(7~11세)의 경우 평균 키는 직전 조사보다 남자 4.3㎝, 여자 2.8㎝가 커졌고, 중학교 연령(12~14세)의 평균 키는 남자 7.4㎝, 여자 3.3㎝가 커졌다. 고등학교 연령(15~17세)은 남자 2.2㎝, 여자 1.9㎝ 커졌다.

 

또 성장 고점기는 6차 조사에 비해 남자는 16~17세에서 14~15세로, 여자는 15~16세에서 13~14세로 빨라지게 됐다. 10년 전보다 지금의 성장 속도가 2년 정도 앞당겨졌다는 의미다.

 

6차 조사보다 평균 몸무게 역시 남녀 모두 증가했다.

 

초등학교 연령의 평균 몸무게는 남자 3.0㎏, 여자 1.1㎏ 증가했고, 중학교 연령은 남자 5.1㎏, 여자 1.3㎏, 고등학교 연령은 남자 4.4㎏, 여자 2.8㎏ 증가했다.

 

하반신 길이 비율을 나타내는 허리높이 비율(허리높이/키)은 감소했다. 허리의 위치가 예전에 비해 낮아졌음을 의미한다.

 

6차 조사 대비 중학교 연령의 평균 허리높이 비율은 남녀 각각 3.1%, 2.5% 감소했고, 샅높이(바닥면에서 사타구니까지의 수직 거리) 비율 역시 남녀 각각 0.5%, 0.9% 감소했다.

 

비만도를 의미하는 평균 체질량지수(BMI)는 6차 조사 대비 남자의 경우 20.7에서 21.4로, 여자는 19.8에서 20.0으로 증가했다. 전체적인 평균값은 모두 표준체중이지만, 남자 18~19세의 경우 평균 23.6%가 과체중·경도비만·중도비만에 해당했다.

 

과체중 이상의 비만도 판정을 받은 비율은 전 연령 기준 남자 20.7%, 여자 14.3%로 남자의 비만도가 여자에 비해 높았다.

 

진종욱 국표원장은 "앞으로 인체 데이터가 첨단기술과 융합해 헬스케어 서비스, 디지털 신원인식·보안 등의 신산업 분야로 활용·확산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