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명 전문가 자문단 위촉
인천도시기본계획이 그동안 복잡하고 어려운 형태에서 벗어나 시민들이 이해하기 쉬운 전략계획 형태로 바뀐다.
인천시는 시민들이 이해하기 쉬운 정책 중심의 ‘2040년 인천도시기본계획’을 수립한다고 6일 밝혔다.
이를 위해 시는 최근 인천연구원, 대학 교수, 민간 전문가 등 50명의 전문가 자문단을 꾸렸다. 국토계획법 및 도시기본계획수립지침에 따른 정식 자문단이다.
시는 자문단을 통해 2040년 인천도시기본계획 변경 과정에서 핵심 이슈를 중심으로 시민들이 알기 쉬운 전략계획 형태의 수립 방안을 논의한다.
시는 지난 2022년에 ‘2040년 인천도시기본계획’을 수립했다. 하지만 연수·구월·계산 등 ‘노후계획도시 정비제도 도입’이나 ‘인천내항 1·8부두 항만 재개발’ 등에 따른 특별법 제정 등이 이뤄지면서 계획 변경을 추진 중이다. 시는 2040년 수도권광역도시계획(안)을 구체화하기 위해 지난해 3월 인천도시기본계획 변경 용역에 착수했다.
특히 1981년 제도화한 도시기본계획은 전국에서 여러 가지 주제를 종합해 나열하는 형식으로 수립하고 있다. 인천도시기본계획의 경우 600페이지에 달해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하위계획인 도시관리계획의 지침 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미 뉴욕, 런던, 도쿄, 멜버른 등 해외 글로벌 선진 도시들은 도시기본계획을 도시가 지향할 미래상을 목적과 목표, 전략 등으로 명료하게 체계화하고 계획 내용 실천을 중심으로 수립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이번 자문회의에서 글로벌 도시 도약을 목표로 다양한 공간 전략계획(안)을 마련하고, 전문가의 의견을 모아 가장 부합한 형식과 내용의 전략계획을 구성할 방침이다.
이철 시 도시계획과장은 “처음으로 전략계획을 도입한다는 과도기적 상황을 고려해 이번 인천도시기본계획 변경에서는 종전 형태와 새롭게 수립하는 전략계획을 함께 운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운영상의 미비점 등을 보완해 다음 도시기본계획 수립에서는 전략계획의 체계를 정착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시는 2040년 인천도시기본계획 변경을 국토계획 평가와 중앙부처 협의를 거쳐 올해 말까지 최종 고시할 예정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