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 5호선 검단·김포연장선의 노선 문제가 시간만 잡아먹고 있다. 지난 1월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의 조정안 제시 이후 5개월째다. 문제는 언제까지나 인천 김포가 씨름만 하고 있을 수는 없다는 데 있다. 사업이 본궤도에 오르려면 정부 시행계획에 들어가야 한다. 대광위는 당초 이달 중 조정안을 확정, 시행계획에 넣으려 했다.
인천으로서는 지난번 대광위 조정안이 김포에 너무 치우쳤다는 입장이다. 김포는 김포대로 검단 경유 최소화를 관철하려 한다. 이러다간 광역교통시행계획 반영이나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기회까지 놓칠 판이다. 또 하나 복병이 있다. 경로가 겹치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 D노선이다. GTX에 선수를 빼앗기면 사업성이 뚝 떨어진다.
대광위는 현재 국토교통연구원을 통해 인천·김포 노선안의 기술검토를 하고 있다. 대광위는 이달 중 최종 노선을 정한 후 4차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반영한다는 구상이다. 대광위는 지난 1월 5호선 연장사업 노선안을 발표했다. 인천 서구 검단에 2곳, 김포에 7곳의 정차역을 만드는 내용이다. 인천시가 요구했던 4개 역이 2개로 줄었다. 인천시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김포시도 역 3곳을 더 늘려 달라며 물러서지 않는다. 통진역, 김포경찰서역, 풍무2역 등이다. 인천시와 김포시가 각자의 노선을 주장하며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4•10 총선까지 가세했다. 이 기간 양 지역 간의 합리적인 협의가 설 자리를 잃게 했다. 5호선 연장 사업은 정부의 광역교통시행계획에 담겨야만 첫 발을 뗄 수 있다. 그러려면 인천시와 김포시의 노선 합의가 필수적이다.
광역교통계획 반영이 안 되면 정부의 2분기 예타조사 면제 신청도 못 한다. 노선 합의도 없는 사업에 예타조사 면제가 주어질 리 없다. 신속한 사업 추진을 위한 패스트트랙까지 놓치는 셈이다. 이대로 시간만 보내다가는 GTX-D에 주도권을 내줄 수도 있다. 경유 지역이 유사한 GTX-D는 대통령 공약사업이다. 뒤처지면 사업 중복 얘기도 나올 수 있다.
김포시로서는 인천 경유를 최소화, 서울과 직결하려는 욕심일 것이다. 그래서는 5호선 연장 사업 자체가 성립하지 않는다. 타당성이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처음 대광위안대로라도 5호선 연장선의 통행시간이 25분7초에 지나지 않는다. 서로 한 발씩 내주는 타협과 절충이 충분히 가능한 이유다. ‘쟁취’만 부르짖는 정치권은 도움이 안 된다. 두 곳 시민들과 지자체가 이성적으로 머리를 맞댈 시간이다. 합의에 실패해도, 정부나 대광위는 아쉬울 것 없다는 걸 잊지 말아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