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인 조사, 응답자 60.6%는 임금 줄어도 ‘할 것’ 대부분 ‘일과 삶 균형(워라밸) 문화 정착’ 기대 반응
직장인 10명 중 8명 이상이 ‘주4일 근무제’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커리어 플랫폼 사람인에 따르면 최근 전국 직장인 3천576명을 대상으로 ‘주4일 근무제에 대한 생각’을 설문한 결과, 응답자의 86.7%가 ‘긍정적’이라고 밝혔다.
직급별로 보면 대리급(91.2%), 과장급(88.7%), 사원급(88%), 부장급(82%)은 긍정적이라고 답한 비율이 80% 이상이었고, 임원급은 65.3%로 다른 직급에 비해 낮았다.
주4일제가 긍정적인 이유(복수응답)는 ‘휴식권이 보장되고 일과 삶 균형(워라밸)이 정착될 수 있어서’(80.3%)가 가장 많이 꼽혔다.
다음으로 ▲재충전으로 업무 효율이 높아질 것 같아서(64.8%) ▲건강 관리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44.6%) ▲휴일이 늘어 내수 진작과 경제 성장이 기대돼서(33%) ▲자녀 돌봄 등이 용이해져서(28.5%) ▲일자리가 더 많이 창출될 것 같아서(18.7%) 등이 뒤따랐다.
또 주4일제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직장인들 중 60.6%는 임금이 줄어도 주4일 근무제를 할 것이라고 답했다.
감내할 수 있는 임금 감소폭은 평균 7.7%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는 5%이상~10%미만(41.4%), 1%이상~5%미만(33.8%), 10%이상~15%미만(15.9%), 15%이상~20%미만(6.2%) 등 순이었다.
반면, 주4일제가 부정적이라고 답한 이들(476명)은 ‘임금이 삭감될 것 같아서’(52.5%, 복수응답)를 첫 번째 이유로 꼽았다.
이어 ▲업무량은 줄지 않고 업무 강도만 높아질 것 같아서(48.1%) ▲기업 경쟁력이 악화되고 성장이 둔화될 것 같아서(36.1%) ▲시행 못하는 일부 업직종의 박탈감이 커서(28.8%) ▲업무 감각과 생산성이 떨어질 것 같아서(22.7%) ▲지출이 늘 것 같아서(17.6%) 등 순이었다.
아울러 직장인들은 주4일제가 시행되면 ‘일과 삶 균형 문화 정착’(72%, 복수응답)에 가장 큰 사회적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계속해서 ‘직장에서 효율 중심의 업무 진행 보편화’(53%), ‘여가, 레저가 활성화되고 관련 산업이 발전’(46.1%), ‘친부모의 돌봄 활성화 등 저출산 해소’(28.5%), ‘부업/투잡의 보편화’(25.4%), ‘회식, 사내 행사 등 감소’(22.6%), ‘일자리 창출로 실업률 감소’(21.6%) 등으로,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변화를 기대했다.
반대로 ‘임시 일용직 노동자 소득 감소로 소득 불균형 심화’(12.3%), ‘기업 경쟁력 악화로 경제 성장 둔화’(9%) 등 일부 부정적인 영향을 걱정하는 의견도 있었다.
한편, 이번 사람인 조사에서 전체 응답자의 10명 중 7명(64.7%)은 앞으로 우리나라에 주4일제가 확산될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가장 현실적인 주4일제 도입 방안으로 ‘매달 월요일 2번 휴무 지정’(38.8%), ‘매 월 마지막주 금요일 무조건 휴무’(32%), ‘매주 월요일 오후 1시 이후 출근’(9.4%), ‘월말 전 80시간 이상 근무 시 마지막주 금요일 휴무’(6.2%) 등의 답변이 나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