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건설 일감의 역외 유출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한다. 지역에서 벌어지는 건설 공사 대부분을 서울∙경기 업체들이 맡아 한다는 얘기다. 인천 건설업체들의 지역 건설공사 하도급 수주율이 전국 최하위권으로 쳐졌다. 건설산업은 지역경제 파급 효과가 매우 크다. 전후방으로 연관 산업이 줄줄이 물려 있기 때문이다.
자유경제실천연합이 최근 이에 대한 공개 논의의 장을 마련했다. ‘인천 건설산업 활성화를 위한 지역 수주 제고 방안’ 경제포럼이다. 지난 10년간 인천 종합·전문건설업체의 인천지역 발주 공사 수주 비중이 평균 24.7%로 나타났다. 2015, 2017년의 경우 20.3%, 20.9%로까지 떨어졌다.
2021년의 경우 종합건설업체 수주율이 25.2%다. 이외 전문 원도급 44.8%, 하도급 17.8% 수준이다. 전국 평균 수주율은 42.3%다. 타 지역 수주율의 절반을 간신히 웃도는 수준이다. 전국 17개 시·도 중 세종시(10.7%)를 제외하고 가장 낮다. 특히 지자체 발주 공사 수주율과 민간 건설공사 수주율의 차이가 크게 벌어진다. 인천 종합건설업체의 경우 2019년 계약건수 기준으로 지자체 발주 공사는 91.3%를 차지했다. 공공단체 발주 공사도 91.7%를 따냈다. 그러나 민간 건설공사는 38.7% 수주에 그쳤다. 이를 계약금액 기준으로 보면 지역 업체들의 민간 건설공사 수주율이 17.3%로 다시 떨어진다.
전문건설업 분야도 마찬가지다. 민간 건설공사를 건수로는 36.7% 수주했지만 계약금액으로는 14.3%였다. 이날 포럼에서도 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컸다. 지역 건설업체들이 지자체 발주 공사에 의존하는 것에서 벗어나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입찰 과정에서 지역 건설업체에 일정 비율의 프리미엄을 부여, 가격 경쟁에서 우대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 민간 발주공사 수주 확대를 위한 방안도 거론됐다. 인천 업체의 공사 참여를 확대한 민간 건설사에 대해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식 등이다.
이날 지역 건설업계에 대한 냉엄한 진단도 나왔다. 우선 영세성이다. 5인 미만 영세 기업 비율이 서울, 경기에 비해 크게 높다. 영세하니 공사를 따기 어렵고 영업도 폐쇄적 연고주의에 매달린다. 역량있는 중견·대기업이 부재한 것도 지역 업계 전체의 경쟁력을 떨어뜨린다. 이러니 지자체 발주 공사나 소형 공사에 더욱 의존한다. 지역 중대형 공사를 서울·경기 업체들이 더욱 잠식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이유다. 어떻게 해야 이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낼 수 있을 것인가.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