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락두절 상담 자체 성립 안돼 복귀 지체에 출근율 10% ‘난망’ 정부 “전문의 중심 병원 논의”
정부가 집단 사직 후 의료현장을 떠난 전공의들을 복귀시키기 위해 개별상담기간을 연장했지만 전공의의 복귀는 미비하다. 병원들은 대다수 전공의가 연락조차 받지 않아 상담이 이뤄지지 않는다고 호소하고 있다.
2일 정부와 의료계 등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전공의들을 복귀시키고자 각 수련병원의 병원장과 진료과장 등에 요청한 개별상담의 결과 제출기한을 지난달 29일에서 같은 달 31일까지로 미뤘다.
상담을 진행하려면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것이다. 복지부의 기간 연장에도 전공의들은 계속해서 ‘묵묵부답’인 상태다. 병원 관계자들은 “뚜렷한 복귀 움직임은 없다”며 “연락이 안돼 대면 상담 자체가 성사되질 않고 있다”고 전했다.
전공의들의 상담 및 복귀가 늦어지자 의료계 안팎에서는 개별상담 후에도 전공의 출근율은 10% 남짓에 그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현재 주요 100개 수련병원에서 근무 중인 전공의는 지난 4월30일 577명에서 지난달 28일 699명으로 늘어났다. 한 달간 하루에 4명꼴로 병원에 복귀한 셈이다. 지난달 28일 기준 전체 수련병원 211곳에서 근무 중인 전공의가 전체의 7.1%인 973명인데, 이 속도라면 개별상담 후에도 10% 달성조차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복귀 타진이 어려워지자 전공의들의 발길을 돌릴 다른 방안을 고심 중이다. 면허정지 행정처분, 사법 절차 등을 하지 않는 유연한 처분 방침은 변함이 없으며 복귀 시 수련을 제때 마칠 수 있는 방법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정부는 전공의 의존도를 줄인 전문의 중심 병원을 정착시키는 데 속도를 높이고 있다. 서울 주요 대형병원 ‘빅5’의 경우 전체 의사 인력의 40%에 달하는 전공의 비율을 일정 비율 이하로 낮추도록 규제할 예정인데 시행 시기를 올해로 앞당기려는 것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현재 비상진료체계를 만들었고 의료개혁특별위원회를 통한 전문의 중심 병원 전환도 계속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