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지도 바뀐다, 공공기관 ‘대이동’...서북부 활성화 ‘속도’

핵심 행정기관 재배치 계획안 발표... iH 등 내년까지 ‘루원복합청사’ 이전
상권 위축 등 이주 피해 방안 마련... 市 “세부실행계획 마련, 순차적 추진”

천준호 시 기획조정실장이 11일 시청 전국기자실에서 공공시설 재배치 기본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시 제공
천준호 시 기획조정실장이 11일 시청 전국기자실에서 공공시설 재배치 기본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시 제공

 

인천의 핵심 공공기관인 인천도시공사(iH)·인천환경공단·인천시설공단 등이 내년 말까지 루원복합청사로 이전, 인천의 행정기관 지도가 바뀐다. 이 같은 변화로 인천 서북부 활성화 등이 이뤄질 전망이다.

 

천준호 인천시 기획조정실장은 11일 “효율성과 접근성, 편리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라며 이 같은 내용의 공공시설 재배치 계획을 밝혔다. 시는 이 계획에서 산하 공사·공단을 비롯해 위탁기관까지 총 72개 공공기관을 단기(2028년)와 중기(2029~2033년)·장기(2034년~) 등으로 구분해 이전 및 재배치한다. 이중 단기는 루원복합청사와 사회복지회관 신설, 인천뮤지엄파크 등이며 오는 2028년까지 이뤄진다.

 

이에 따라 시는 우선 내년 연말까지는 iH와 환경공단, 시설공단 등 핵심 공공기관을 인천 서구 루원씨티의 복합청사로 옮길 계획이다. 서부수도사업소와 미추홀콜센터, 아동복지관도 루원복합청사에 들어간다. 앞서 시는 1천681억원을 투입해 지하 2층, 지상 13층에 연면적 4만7천423㎡(1만4천370평) 규모의 루원복합청사를 추진, 현재 공정률은 50%이다. 최근 시는 이 같은 공공기관 재배치 계획에 따라 루원복합청사의 숙박동을 업무동으로 변경했다.

 

시는 iH가 빠진 자리에 도시철도본부와 종합건설본부 등이 들어서도록 할 예정이다. 이는 iH의 이전으로 인해 남동구 만수동 일대의 상권 위축을 우려한 주민 반발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이다 시는 iH의 인력 약 420명의 이탈로 인한 상권 침체는 도철본부·건설본부의 인력 370여명 유입으로 상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건설본부가 빠져나간 자리에는 소방본부 등을 확장 이전하는 방안도 구상하고 있다.

 

다만, 시와 iH간의 루원복합청사 이전을 위한 소유권 및 자산 취득 방법 등은 여전히 풀어야 할 숙제로 남아 있다. iH와 시는 각각 공유재산을 별도로 관리하고 있다. 이 때문에 궁극적으로 시가 현 iH 본사의 땅과 건물을 사들이고, iH 역시 루원복합청사의 업무동 일부를 매입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iH의 높은 부채 비율이 자산 취득에 발목을 잡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시는 iH 등과 협의체를 마련해 종전 iH 부지와 본사의 자산 취득과 이전 비용에 대한 논의에 나설 예정이다.

 

시는 또 내년 말 신청사 건립으로 빈 공간으로 남을 시청 신관에는 서구에 있는 인천연구원과 부평구에 있는 여성가족재단, 남동구에 있는 인천인재평생교육진흥원을 입주시킨다. 대신 중구에 있는 보건환경연구원을 인천연구원으로 옮긴다.

 

이 밖에도 시는 내년 9월 인천사회복지회관이 새로 지어지는 만큼, 현재 인천사회복지회관에 여성긴급전화1366·디지털성범죄예방대응센터·성폭력피해상담소·스토킹피해자긴급주거지원센터 등을 입주시킨다.

 

앞서 시는 지난 2022년부터 ‘공공시설 실태조사 및 재배치 방안 수립 용역’을 추진하고 전체 공공시설 222곳에 대한 실태조사와 72곳에 대한 이전 재배치 계획을 마련했다.

 

천 실장은 “인구구조 변화와 행정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이번 공공기관 재배치 그림을 그린다”며 “각 부서와 함께 세부실행계획을 마련해 단기와 중·장기 사업에 걸쳐서 차질 없이 추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