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태 좋다더니 실제론 다르네”…중고차 소비자 피해 ↑

image
해당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없음. 이미지투데이

 

중고차 관련 소비자 피해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21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3년간 소비자원에 접수된 중고차 구입 관련 소비자 피해구제 신청은 총 330건으로, 해마다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소비자원 제공
한국소비자원 제공

 

피해유형별로 살펴보면 ‘성능·상태 고지 내용과 실제 차량 상태가 다른 경우’가 80.0%(264건)로 가장 많았고, 이어 ‘계약금 환급 지연·거부’ 6.1%(20건), ‘제비용 부당청구·미정산’ 4.5%(15건) 등의 순이었다.

 

‘성능·상태 고지 내용과 실제 차량 상태가 다른 경우’의 세부 내용으로는 ‘성능·상태 불량’이 가장 많았고(57.6%, 190건), ‘사고·침수정보 고지 미흡’(18.8%, 62건), ‘주행거리 이상’(3.6%, 12건) 등이 뒤따랐다.

 

한국소비자원 제공
한국소비자원 제공

 

피신청인 사업자의 소재지는 ‘경기도’ 42.4%(140건)가 1위였다. 다음으로 ‘서울특별시’ 21.8%(72건), ‘인천광역시’ 8.8%(29건) 등 순으로 대형 매매단지가 있는 수도권 소재 사업자가 전체의 73.0%(241건) 비중을 차지했다.

 

피해구제 신청이 발생했을 때 소비자와 사업자 간 '합의'(38.8%)가 이루어진 건 10건 중 4건도 채 되지 않았다.

 

한국소비자원 제공
한국소비자원 제공

 

이 가운데 배상이 18.5%(61건)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환급 11.5%(38건), 수리·보수 5.8%(19건) 등이었다.

 

소비자원은 소비자에게 중고차 구입 시 ▲자동차 365 및 카히스토리를 통해 사고 이력 및 침수 여부 등을 확인할 것 ▲성능·상태점검기록부 확인뿐 아니라 차량 시운전을 통해 차량 상태를 점검할 것 ▲판매원의 자동차매매사원증과 자동차매매사업조합연합회 홈페이지 등록 여부를 확인한 후 계약할 것 ▲사업자가 약속한 특약내용 등을 매매계약서(자동차양도증명서)에 포함해 꼼꼼히 작성할 것 등을 당부했다.

 

아울러 전국자동차매매사업조합연합회 및 한국자동차매매사업조합연합회 등 양대 연합회와 간담회를 개최해 각 연합회에 소속된 회원사를 상대로 소비자 피해사례 및 예방방안을 홍보하고 계도하는 등 중고차 소비자 피해예방을 위해 협력하기로 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