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년 조사보다 긍정평가 11.1% 높아져
고양특례시가 민선 8기 2주년을 맞아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긍정평가가 70%를 넘겼다.
시는 지난 12일부터 17일까지 6일간 18세 이상 고양시민 1천2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고양특례시가 일을 잘하고 있다는 응답이 72.9%에 달했다고 21일 밝혔다.
반면 일을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은 26.4%에 그쳤고 무응답은 0.8%였다.
시정 운영에 대한 긍정평가 비율은 지난해 5월 실시한 민선 8기 1주년 여론조사보다 11.1%P 높아졌다.
경기일보가 이번 여론조사의 통계표를 분석한 결과 긍정평가 비율은 지역, 연령대, 소득, 직업별로 미세한 차이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덕양구B(효자·삼송1·삼송2·창릉·흥도·대덕·화전·행신1·행신2·행신3·행신4) 지역의 긍정평가 비율이 76.1%로 가장 높았고 일산동구(74.8%)와 일산서구(70.6%)가 뒤를 이었다. 덕양구A(고양·관산·원신·주교·성사1·성사2·화정1·성사2·행주·능곡) 지역이 69.6%로 가장 낮았다.
남성(72.1%)과 여성(73.6%)의 긍정평가 비율 차이는 크지 않았다.
연령대별로는 50대의 긍정평가 비율이 81.2%에 달해 눈길을 끌었다. 반면 18~29세 이하는 68.0%로 가장 낮았다. 30대(68.7%) 40대(69.2%)의 긍정평가 비율도 70% 아래였다.
학력별로는 고졸 이하(74.3%)가 대학교 재학 및 대졸 이상(71.6%)보다 높은 긍정평가 비율을 보였다.
소득별로는 월300만원 미만(67.8%), 300~600만원(69.3%), 300만원 이상(77.6%)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별로는 블루칼라(76.5%)의 긍정평가 비율이 가장 높았고 학생(63.3%)이 가장 낮았다.
응답자들이 긍정평가를 한 이유로 가장 많이 꼽은 것은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책이 많아서(33.0%)였다.
부정평가를 한 응답자들 역시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책이 적어서(31.9%)를 가장 많이 선택했다.
분야별 정책만족도 조사에서는 8개 분야 모두 만족이 불만족보다 많았다. 만족도 비율은 문화체육관광(63.5%), 안전(56.8%), 교통(54.5%), 복지(54.5%), 산업(54.2%), 교육(51.3%), 도시개발(49.9%), 환경(48.2%) 순이었다.
응답자들은 고양특례시가 중점을 둬야 할 분야를 도시개발(25.8%), 복지(18.8%), 교통(18.0%), 문화체육관광(12.1%), 산업(8.4%), 안전(7.9%), 환경(4.5%), 교육(3.9%) 순으로 꼽았다.
중점을 두어야 할 사업으로는 버스‧지하철 등 교통망 확대(24.5%), 경제자유구역 추진(21.8%), 미세먼지 및 감염병 대응 강화(13.4%), 재건축, 리모델링 지원(12.3%), 한류콘텐츠 및 공연 중심도시 추진(12.0%), 보육‧양육 비용 지원(9.4%), 취·창업 지원(5.9%) 등의 순서로 선택했다.
마지막으로 거주만족도에 대한 물음에는 긍정평가가 86.8%에 달했다. 특히 70대 이상, 소득 600만원 이상, 자영업자 집단의 만족도는 90%를 넘겼다.
이동환 시장은 “이번 여론조사를 통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도 돌아보는 계기가 됐다”며 “지금 결과에 만족하지 않고 ‘시민 행복 도시’, ‘글로벌 명품도시’를 완성하는 날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조사는 고양특례시가 여론조사 전문기관 국민리서치그룹에 의뢰해 6월 12일부터 17일까지 고양시민 1천26명을 대상으로 대면면접(72.3%) 및 통신 3사 고객정보를 이용한 모바일웹(27.7%) 방식으로 진행했다.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3.1%p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