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동구, 노후 소규모 건축물 보수 공사 지원…도심 환경 개선 기대

김찬진 인천 동구청장이 동구지역 곳곳에 있는 재난취약시설물을 현장 점검하고 있는 모습. 동구 제공
김찬진 인천 동구청장이 동구지역 곳곳에 있는 재난취약시설물을 현장 점검하고 있는 모습. 동구 제공

 

인천 동구가 낡은 소규모 건축물의 안전 점검과 보수 공사를 돕는다.

 

23일 구에 따르면 건축물의 구조·에너지 성능·화재 안전 등을 점검하고, 점검 결과에 맞춰 보수 비용을 지원하는 ‘건축물 생애주기 플러스’ 사업을 한다.

 

구는 건축물 150곳을 사업 대상으로 선정, 11억5천만원을 들여 건축물 1곳당 1천만원 이내의 사업비를 지원한다. 구는 노인 관련 시설이나 정비 구역 해제 지역 중 2층 이하이면서 500㎡ 미만인 건축물, 사용승인 이후 30년이 지난 건축물 등을 사업 대상으로 정했다. 단 정비구역, 소규모 정비사업구역, 도시재생사업지 안에 있는 건축물이나 무허가 건축물 등은 제외했다.

 

구는 우선 건축물의 성능을 점검하는 용역 사업을 한다. 이 용역을 통해 건축물의 구조·화재 안전 등 재난 취약 시설 여부 및 에너지 성능을 점검하고, 보수·보강에 필요한 공사비를 정한다. 건축물 주인이 동의하면 150곳 범위 안에서 모두 선정한다. 이 용역은 오는 10월부터 내년 3월까지 이뤄진다.

 

구는 또 건축물 안전점검 용역을 끝낸 건축물을 대상으로 선정심사를 거쳐 보수·보강 사업비 지원 대상을 정한다.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장애인가구, 한부모 가정, 조손가정 등 주거취약계층엔 가산점 5점을 반영한다.

 

구는 균열과 누수, 창호, 보일러, 발광다이오드(LED) 교체 등 안전점검 용역 결과에 따라 보수가 시급한 분야에 대해서 사업비를 지원한다. 지원자가 시공사를 선정해서 공사를 마치면 준공 이후 사업비를 지급하는 방식이다.

 

구는 다음달 용역과제 심의위원회를 거쳐 8월~10월 제2회 추가경정예산에 반영, 사업홍보 및 신청 접수에 나선다. 이어 내년 5월 보수공사를 시작해 같은 해 12월까지 사업을 마치겠다는 구상이다.

 

구 관계자는 “건축물 관리법에 의해 구가 소규모 노후 건축물의 점검을 도울 수 있다”며 “지역의 작고 낡은 건축물에 대한 개선사업”이라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