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역대급 장마와 물폭탄 예상되는데 道 지하차도 10곳 중 절반↑ 침수 사각지대로 “사람이 일일이 차단하는 것은 한계” 지적 道 “즉각 대응체계로 인명피해 없도록 최선”
경기도내 일부 지하차도에 설치된 차단설비가 규격에 맞지 않게 설치된 가운데 경기도가 올해 6월까지 목표로 세운 차단설비 설치율이 35%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조달청에 등록된 우수조달업체로 일감이 몰려 설비 공사가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23일 경기도와 각 시·군에 따르면 도는 지난해 10월30일부터 올해 우기 전까지 도비 175억원을 투입해 경기지역에 77개의 지하차도 차단설비를 설치 중이다. 또 지자체마다 특별조정교부금 등을 받아 35개에 대한 차단설비 설치 작업을 하고 있다.
당초 도와 각 시·군은 우기가 시작되는 이달 말 설치 사업을 마무리할 계획이었다. 행정안전부 역시 침수에 대비하는 설비인 만큼 이달 말까지 완공하라고 권고했다.
하지만 이달 말까지 112개 중에서 설치가 완료될 것으로 보이는 곳은 40개(35.7%)에 그친다. 결국 도내 지하차도 10곳 중 6~7곳은 우기 시 지하차도가 물에 잠겨도 진입을 막아줄 수 있는 장치가 없어 침수 피해 사각지대에 놓인 셈이다.
통상 지하차도 차단설비 공사는 하루에서 반나절 걸린다고 알려졌다. 공장에서 설비를 만든 후 현장에선 조립하는 식으로 공사가 이뤄진다.
현재 설치 작업이 지연되는 이유는 한 업체에 일감이 몰린 탓이다. 각 지자체는 빠른 공사 진행을 위해 조달청에 등록된 우수조달업체로 등록된 한 업체와 계약을 맺었는데, 계약이 몰리면서 자재 수급 및 공사 일정을 맞추기 힘든 실정이다.
이에 경기도와 각 지자체는 올해 연말까지 공사가 지연될 수 있다고 파악하고 있다. 문제는 올여름은 기후 변화 등으로 역대급 장마와 물 폭탄이 예상돼 있는데, 침수 피해를 대비할 설비가 마련돼 있지 않다는 것이다.
상황이 이렇자 경기도는 지하차도 마다 공무원, 경찰, 자율방재단 등으로 구성된 담당을 지정해 침수 시 차량 진입을 통제하도록 했다. 하지만 이마저도 결국 사람이 해야 하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오송지하차도 참사의 경우 선제적으로 차량의 진입을 막을 수 있는 시스템만 있었어도 인명피해는 크게 줄어들었을 것”이라며 “차단이 필요할 때마다 공무원들이 일일이 현장에서 지하차도를 차단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 업체가 공사를 도맡아 진행할 경우 부실공사와 품질 저하 등의 문제를 불러오며 국민의 안전도 보장받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현재 우수조달업체로 등록된 업체와 계약을 진행하면서 공사가 몰렸다. 우기 전까지는 설비를 100% 설치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라며 “침수 시 즉각적인 대응 체계를 통해 인명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