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사회’ 진입... 어르신 살기 좋은 인천 만든다

치매안심돌봄센터·재정 등 지원

인천 남동구 시청 본관. 시 제공
인천 남동구 시청 본관. 시 제공

 

인천이 오는 2027년이면 만 65세 이상의 어르신 인구가 20%를 넘기는 등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더욱이 오는 2037년에는 어르신 인구가 전체 인구의 30%까지 늘어날 전망이어서 노인복지정책의 내실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7일 인천시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인천의 인구 300만8천484명 중 65세 이상 어르신 인구는 50만9천599명으로 전체의 16.9%를 차지하고 있다. 이 같은 어르신 인구 비율은 오는 2027년 62만1천815명(20.7%)로 초고령사회로 진입한다. 이는 특·광역시 중 2번째로 가파른 고령화 증가율이다.

 

앞서 인천의 어르신 인구 비율은 지난 2021년 14.3%를 넘으면서 이미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65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율인 고령자 인구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 사회, 14% 이상이면 고령 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 사회로 구분한다.

 

군·구별로는 섬 지역과 원도심인 강화·옹진군과 동구 등에 어르신 인구 비율이 높다. 강화군과 옹진군의 어르신인구 비율은 각각 37.9%와 32.4%이다. 동구 역시 26.2%로 뒤를 잇는다. 사회적 문제로 꼽고 있는 홀몸어르신 가구 비율은 10.3로 전국 평균인 8.2%보다 높다. 홀몸어르신 비율이 가장 높은 군·구는 강화군으로 21.8%이고, 이어 동구가 16.9%, 미추홀구가 12.1% 등이다.

 

특히 인천은 기대수명 증가로 인해 85세 이상의 후기고령 어르신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대수명은 지난 2008년 79.6세에서 2020년 83.5세로 급증했고, 이어 2050~70년에는 88.6세와 90.9세로까지 증가한다.

 

지역 안팎에선 이 같은 현상에 맞춰 시가 어르신들이 살기 좋도록 노인복지정책의 내실화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어르신들의 치료와 요앙 및 치매관리, 일상생활 지원 등 복합적인 서비스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일단 시는 오는 2029년까지 4천92억원을 투입해 LH(한국토지주택공사)를 통해 서구 검단신도시와 계양테크노밸리(TV) 등에 각각 100가구과 120가구의 영구임대 아파트를 조성할 예정이다. 또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치매 어르신들의 돌봄을 위한 치매안심돌봄터와 치매전담형요양시설 등을 건립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시는 신노년·베이비부머 세대가 어르신 인구로 유입하면서 50세 이후의 변화한 삶에 대비하고, 새로운 인생을 준비할 수 있도록 ‘인생재설계 교육’와 일자리 지원에도 나선다.

 

시 관계자는 “어르신들이 살기 좋은 ‘고령친화도시’를 목표로 쾌적한 거주환경을 비롯해 다양한 사회·일자리참여, 소통이 이뤄질 수 있도록 다방면에서 지원하겠다”고 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