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대응 위해 지하수 체계화…경기도, 종합관리체계 만든다

용역 발주 완료, 업체 선정 추진... 저류댐 설치 가능성 파악 예정

경기도청. 경기일보DB
경기도청. 경기일보DB

 

경기도가 상대적으로 기후위기의 영향을 덜 받는 지하수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로 했다.

 

특히 도내 상수도가 보급되지 않은 지역에선 지하수를 활용하는 사례가 있는 만큼 도는 관리 계획을 세워 31개 시·군에서 관련 행정의 지표로 삼게 하겠다는 복안이다.

 

8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5일 4억원 규모의 ‘경기도 제3차 지하수관리계획’ 수립에 관한 용역을 발주하고 업체를 선정할 예정이다. 지난해 6월 환경부가 ▲기후위기 대응 ▲지하수에 대한 수질·수량 통합관리체계 구축 등을 골자로 한 ‘제4차 지하수관리기본계획’을 세우면서 도 역시 정부 정책을 반영하기 위해 이번 사업을 추진한 것이다.

 

현재 도내에선 총 28만8천637개(매년 사용 용량 약 4억3천767만㎥)의 지하수 시설이 있는 가운데 도는 지하수를 호수와 하천 등 지표수보다 안정적인 수자원으로 평가하고 있다. 가뭄으로 인해 물이 마를 가능성이 적기 때문이다. 더욱이 상수도 미보급 지역에선 지하수를 생활용수 등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양평군의 경우 전국에서 세 번째로 큰 규모로 지하수를 활용 중이다.

 

이 때문에 도는 이번 용역을 통해 개발할 수 있는 지하수 규모와 지하수 저류댐의 설치 가능성을 파악할 방침이다. 지하수 저류댐은 물의 흐름을 막아 수자원을 저장하는 시설인 만큼 안정적인 물 공급이 가능하다.

 

도 관계자는 “업체 선정과 수행 기간을 감안하면 제3차 지하수관리계획은 내년 하반기 나올 것”이라며 “수량과 수질의 통합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맞춤형 지하수 관리를 진행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