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종부세 과도한 갈등과 저항” 김두관 “당의 정체성 지키는 범위 내”
더불어민주당이 8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친명(친이재명)과 친문(친문재인)간 종합부동산세(종부세) 갈등을 예고하고 있다.
이재명 후보의 대표적인 우클릭 정책 중 하나로 꼽히는 종부세 폐지 또는 완화에 대해 비명계는 물론, 조국혁신당까지 반발하고 있어서다.
15일 야권 일각에서는 ‘거야(巨野) 연합 전선’인 민주당과 조국혁신당의 정책 공조가 자칫 당 대표 선출을 앞두고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앞서 민주당의 유력한 당권 주자인 이재명 전 대표는 지난 10일 ‘종합부동산세 완화론’을 띄웠다. 당시 기자회견을 통해 “종부세가 불필요하게 과도한 갈등과 저항을 만들어 낸 측면도 있는 것 같다”며 “한번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종부세뿐 아니라 금융투자 소득세와 상속세에서도 기존의 민주당 노선과는 다른 전향적인 입장을 내놓았다.
이른바 ‘먹사니즘(먹고 사는 문제에 집중한다는 뜻의 조어)’을 기치로 내건 이 전 대표는 중도·중산층 표심에 호소력이 큰 세금 이슈까지 들고나오면서 차기 당권을 넘어 사실상 대권 재도전을 기정사실화한 것으로 받아들여졌다.
종부세 완화론은 당내에 작지 않은 파장을 일으켰다. 비명(이재명)뿐 아니라 조국혁신당과 진보당 등 민주당과 연합 전선을 형성한 군소 야당의 반발도 불러왔다.
김두관 후보는 이날 “종부세 등 세제와 관련해서는 우리 당이 지켜온 나름의 원칙이 있다”며 “중도층 외연 확장 차원인지는 모르겠지만, 당의 정체성을 지키는 범위 내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조국혁신당 조국 대표 후보는 전날(14일) 페이스북 글에서 “2022년 여야 합의로 종부세 공제액을 12억원으로 올리고, 공시가격도 현실화해 부담을 지는 사람 수가 대폭 줄었다”며 “그럼에도 또 종부세를 줄이거나 아예 없앤다면 지역은 완전히 망한다”고 사실상 이 전 대표를 비판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