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사회서비스원, 장애인 자립 연구 착수…장애인 지역 정착 돕는다

최근 열린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 연구 착수보고회에서 이웅 인천사서원 정책연구실 연구위원이 장애인 자립 연구 등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인천사서원 제공
최근 열린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 연구 착수보고회에서 이웅 인천사서원 정책연구실 연구위원이 장애인 자립 연구 등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인천사서원 제공

 

인천사회서비스원의 장애인주거전환지원센터가 장애인들의 지역사회 정착 지원에 나선다.

 

24일 센터에 따르면 오는 12월까지 ‘인천시 장애인 지원주택 이용자 종단조사를 위한 기초연구’를 한다.

 

앞서 센터는 인천의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을 위해 주택 지원과 사회서비스가 결합한 장애인 지원주택을 운영하고 있다. 사회복지사 1명이 지원주택 이용자 4명의 지역 정착을 돕는다. 지난 2년동안 장애인 30명이 장애인 지원주택을 이용했다.

 

센터는 연구를 통해 장애인 지원주택 이용자가 지역에서 살아가는 모습과 변화를 조사한다. 또 내년 인천시 장애인 지원주택 이용자를 대상으로 패널조사에도 나설 예정이다.

 

센터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인천시 2차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5개년 계획’ 및 ‘보건복지부 지역사회 자립지원 본사업’에 활용할 방침이다.

 

또 센터는 오는 12월까지 ‘인천시 주거전환 장애인의 지역사회 정착과정 및 지원방안 연구’를 통해 장애인의 자립 과정을 살핀다. 지난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자립한 장애인 58명 중 20명이 대상자다.

 

센터는 대상자 20명의 자립 과정을 연대기적 방식으로 조사, 주거 선호 특성에 따른 유형화를 찾아낸다. 또 자립 저해 요인 및 자립에 필요한 요소 등을 분석할 방침이다.

 

센터는 장애인 당사자에게 필요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 및 프로그램 개발에도 나설 예정이다. 센터는 이 같은 연구를 통해 앞으로의 장애인 지역사회 자립지원 사업의 자료로 활용할 계획이다.

 

연구를 맡은 이웅 인천사서원 정책연구실 연구위원은 “장애인 지원주택 사업은 장애인의 지역사회 정착 가능성이 아닌 정착의 조건을 파악하려는 사업”이라고 했다. 이어 “이번 연구를 통해 인천의 장애인들에게 필요한 지원방안의 토대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