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PK 출신 사무총장 임명 영남 5명 정책위의장 교체 ‘시간끌기’도 비상식 경기·인천 등 수도권 참패 반성 ‘외면’
지난 4·10 총선에 대패한 국민의힘이 반성은커녕 아예 ‘영남의 힘’으로 전락하고 있다는 지적이 당 안팎에서 쏟아져 나오고 있다.
한동훈 대표는 29일 오전 최고위원회에서 새 사무총장에 재선의 서병수 의원을 임명했다. ‘친한계’로 분류되는 서 의원은 울산 출신으로 재선(21~22대) 국회의원이다.
이로써 한동훈(서울) 지도부는 ▲추경호(대구) ▲정점식(경남) ▲서병수(울산) ▲장동혁(충청) ▲김재원(경북) ▲인요한(전남) ▲김민전(부산) ▲진종오(강원) 등에 향후 지명직 최고위원을 합쳐도 영남권 5명과 비영남권 4명 구조가 된다.
또 한 대표 체제의 상징인 변화를 위한 정책위의장 및 지명직 최고위원 인사도 ‘시간 끌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도 비상식적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앞서, 당 내부에서는 ‘친한(한동훈)’과 ‘친윤(친윤석열)’을 기준으로 지도부 구성과 관련해 갑론을박을 벌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당 밖 여당 지지층에서는 ‘친한·친윤’이 아닌 영남권 일색의 원내 선출직에 대한 우려를 제기해왔다.
오는 2026년 지방선거와 2027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영남권이 아닌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중심의 정당을 촉구하면서다.
특히 대구·경북(TK)과 부·울·경(PK)만으로는 전국 규모 선거에서 승리할 수 없다는 논리에도 영남권은 22대 국회 원내 여당 몫(8명) 선출직에 무려 6명이나 이름을 올렸다.
반면, 전국 최다 선거구인 경기도(60석)와 인천(14석), 서울(48석) 등 122석에서 19석을 얻는 데 그쳤다. 이 경우 대부분 정당은 열세지역을 보듬는 다양한 정책을 제시하면서 해당지역 인재를 중용했다.
상황이 이런데도 ‘영남의 힘’은 텃밭 승리에 도취해 자리를 차지하는 데 급급했다. 대표적인 사례는 6선의 주호영 국회 부의장이다. 본인이 적극적으로 나서 열세지역에 부의장 자리를 양보했어야 한다는 얘기다.
이와 관련, 최수영 시사평론가는 이날 경기일보와 통화에서 “영남권 일색의 지도부를 고집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경기·인천 등 참패를 처절하게 반성하면서 강력한 수도권 대책을 제시해야 민심을 되돌릴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