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만원 선결제하면 이자 10%”…서민 등골 빼는 ‘카드깡’ 기승

신용카드 불법 거래 적발 건수... 최근 3년간 10만3천119건 달해
승인액 2천933억, 대부분 생계형... 개인정보 유출 등 2차 피해 우려
금감원 “카드깡 의심땐 신고” 당부

해당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이미지투데이
해당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이미지투데이

 

#1. 경기지역의 한 네일숍 매장을 몇 년 동안 이용해 온 A씨(50대)는 네일숍 대표 B씨로부터 솔깃한 이야기를 들었다. 네일숍 이용권을 구매한 것처럼 100만원을 신용카드로 결제해주면 월 말에 이자 10%를 붙여 돈을 돌려주겠다는 것. 다니던 직장이 폐업해 생계가 막막해졌었던 A씨는 이자를 준다는 이야기에 현혹돼 신용카드를 빌려줬다. 실제 A씨는 100만원을 신용카드로 긁고 110만원을 돌려받게 됐다. 쉽게 돈이 벌리자 A씨는 점점 금액을 늘렸는데, 지난 3월 B씨가 갑자기 잠적해버렸다. A씨가 돌려받지 못한 원금만 1천600만원. 경찰 조사 결과, B씨는 A씨와 같은 단골손님뿐 아니라 직원들도 같은 수법으로 속인 것으로 드러났다.

 

#2. 지난 6월 수원의 한 맞춤 정장 업체 대표가 무료 이벤트를 미끼로 고객들에게 신용카드 허위 결제를 유도한 뒤 돌연 문을 닫았다. 그는 예복을 맞추는 고객들에게 수천만원에 달하는 금액을 카드로 결제하면 공짜로 코트를 만들어주는 이벤트를 진행한다며 참여를 권유했다. 하지만 결제한 금액을 현금으로 돌려주지 않았고, 최근까지 200여명의 피해자들이 고소장을 접수해 경찰이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

 

경기가 악화되면서 신용카드를 이용한 사기범죄인 일명 ‘카드깡’이 기승을 부리고 있어 피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카드깡이란 신용카드 결제를 유도한 후 이자를 받고 현금을 준다고 속이거나 부동산투자, 이벤트 당첨 등을 내세워 결제를 유도한 후 잠적하는 방식의 범죄 수법이다.

 

최근 3년간(2021∼2023년) 신용카드 불법 거래로 적발된 건수는 총 10만3천119건, 매출승인 총액은 2천933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이 승인된 금액 대부분이 급전이 필요한 생계형이었다고 금감원은 밝혔다. 지난해 기준 100만~300만원이 30.1%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또 1천만원이 넘는 고액 카드깡 비중이 2021년 10.7%에서 지난해 20.7%로 두 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타인에게 제공된 카드정보가 해킹, 개인정보 유출 등 2차 피해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만큼 범죄 수법에 대한 홍보가 지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상균 백석대 경찰학부 교수는 “경기불황으로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급전이 필요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신용카드 불법거래를 유도하는 사기 범죄가 이어지고 있다”며 “범죄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관계 당국에서 카드깡 수법에 대해 지속적으로 홍보해 경각심을 일깨워줘야 한다”고 제언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신용카드를 이용해 필요한 자금을 손쉽게 마련할 수 있다고 홍보할 경우 불법일 가능성이 높다”며 “카드깡으로 의심되는 경우 신속히 수사기관에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