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한 경찰 지구대 근무팀이 우수한 실적을 거둔 성과로 특진 대상자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동전 던지기’로 뽑은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1일 경기남부경찰청에 따르면 수원남부경찰서 인계지구대 A팀은 지난 7월19일 열린 ‘경찰청 상반기 팀 특진 선발대회’에서 전국 2위를 기록했다.
해당 대회는 팀 단위 특진을 확대해 지구대 등에서 근무하는 경찰관의 역량과 사기 진작을 목적으로 지난해부터 도입됐다. 올해의 경우 총 17개 팀이 경쟁해 1등과 2등인 A팀을 포함, 총 2개 팀이 선정됐다.
이를 통해 A팀은 경위 이하 계급 별로 1~2명 씩 총 6명의 특진 권한이 주어졌다.
여기서 동일 계급의 경찰이 여러 명 있는 점이 문제가 됐다.
특진자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A팀의 B씨와 C씨는 서로 같은 계급이었으며 누가 더 높은 성과를 냈는지도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결국 B씨와 C씨는 서로 상의 끝에 ‘동전 던지기’로 특진자를 결정하기로 하고 일부 직원이 보는 앞에서 동전을 던져 특진 대상자를 정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특진 규정 상 대상자를 어떻게 선정하는 지에 대한 기준이 없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또 운에 특진자를 선정하는 행위는 구성원 간 갈등을 조장하고 오히려 근로 의욕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경찰 내부 의견도 나오며 제도 자체가 희화화됐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익명의 경찰 관계자는 “경찰의 업무가 범인 검거, 범죄 예방시책 등 다양하기 때문에 성과나 기여도를 정확히 판단하긴 힘들다”며 “특히 특진자 선정 과정에서 구성원 간 갈등이 발생했을 때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기준점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