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에 불난다… 냉방기 ‘안전 주의보’

10건 중 7건 에어컨·선풍기서 발생
“안전한 전선 사용·먼지 제거 필요”

기사와 관련 없는 사진. 이미지투데이 제공
기사와 관련 없는 사진. 이미지투데이 제공

 

경기도 전역에 폭염경보가 발효되며 냉방기 가동이 많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여름철 냉방기 화재 10건 중 7건이 에어컨과 관련된 것으로 드러나며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5일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9~2023년) 전국에서 발생한 냉방기 화재는 총 1천803건으로 나타났다.

 

이 기간 동안 에어컨과 선풍기에서 각각 1천265건(70.1%), 538건(29.8%)의 화재가 발생했다.

 

특히 여름철인 7~8월 기간 동안 에어컨 화재는 787건(62.2%), 선풍기 화재는 295건(54.8%)으로 냉방기 사용이 증가하는 기간에 절반 이상의 화재가 집중됐다.

 

냉방기 화재 발생 원인으로는 전기적 요인과 부주의 요인, 기계적 요인 등이 꼽히는 데 대부분의 화재가 접촉 불량과 과부화, 과전류 등 전기적 요인(77.6%)으로 인해 발생했다.

 

경기도 내에서 발생한 냉방기 화재 건수도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같은 기간 경기도 내에서 발생한 에어컨·선풍기 화재는 총 564건으로, 전국 냉방기 화재 건수의 30%를 차지하는 수치를 보였다. 마찬가지로 7~8월에만 339건(60.1%)의 냉방기 화재가 발생하기도 했다.

 

실제 지난 1일에는 김포시 운양동의 한 아파트에서 에어컨 실외기에 화재가 발생해 주민 50여명이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고, 지난해 8월에도 수원특례시 장안구의 한 아파트에서 에어컨 실외기에서 화재가 발생해 주민 200여명이 대피하기도 했다.

 

류상일 동의대 소방방재행정학과 교수는 “집집마다 에어컨·선풍기 보급률이 높아지고 고용량 제품들이 늘면서 화재에 취약한 상황”이라며 “훼손되지 않은 전선 사용 및 가동 전 실외기에 쌓인 먼지 제거 등 전반적인 점검을 통해 화재 위험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